<디지털 한겨레>가 매일 아침 <한겨레>에 실린 수많은 콘텐츠 가운데 주요 콘텐츠들을 몇 가지 골라 독자 여러분께 브리핑을 해드리는 ‘배달의 한겨레’, 3월 13일 배달을 시작합니다.
1. [1·4면]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를 촉구하는 시민모임’이 12일 정부와 정치권에 평창겨울올림픽 분산개최 논의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시민모임은 “평창올림픽 일부 종목을 분산 개최할 경우 최대 1조437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 바로가기 : “평창 단독 고집 땐 빚더미…정부·정치권 책임져야”
2. [1·5면] 내년치 최저임금을 어느 수준에서 결정할지를 두고 민주노총과 정치권, 재계 사이에서 의견이 엇갈립니다. 민주노총은 내년치 최저임금을 1만원으로 정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최저임금의 하한선을 노동자 정액급여 평균 50%로 법제화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 하자는 쪽입니다. 그러나 경제계는 여야와 노동계의 최저임금 인상 요구에 선을 그었습니다.
▶ 바로가기 : 최저임금 인상폭 ‘백가쟁명’…‘시급 1만원’부터 ‘동결’까지
3. [10면] 지존파 사건 등을 수사했던 고병천 전 서울 서초경찰서 강력반장이 중심이 돼 지난해 12월 ‘미제사건포럼’이 꾸려졌습니다. 여기에는 전·현직 베테랑 형사 5명과 범죄학자, 변호사가 포함돼 미제사건를 해결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이 팀에겐 과거의 미제사건도 현재진행형입니다.
▶ 바로가기 : 남은 시효 11개월…“꼭 잡는다, 14년전 여고생 강간살인범”
4. [디지털] 경남도의회가 일반인의 본회의 방청을 전면 불허한 상태로 무상급식 폐지 관련 조례와 예산을 논의해 만들려 한다는 비난을 사고 있습니다. 방청 불허 이유가 ‘일반인이 방청을 하면 질서유지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는 것인데요. 경남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어떤 근거로 이런 판단을 했는지 명확히 해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 바로가기 : 경남도의회 ‘무상급식 논의’ 일반인 방청 막아 ‘밀실’ 논란
5. [디지털 온리] <한겨레>가 중요한 이슈에 담긴 핵심 지식을 하나씩 꺼내 그 지식의 개념을 그래픽 한 장으로 간략하게 설명하는 ‘한 장의 지식’을 연재합니다. 매일 차곡차곡 모아보세요.
▶ 바로가기 : [한 장의 지식] 사드(THAAD)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