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낮 제1362차 수요시위 열려
‘2015년 한일합의 무효’ 주장
“일본, 범죄 진상 밝히고 인정하라”
‘2015년 한일합의 무효’ 주장
“일본, 범죄 진상 밝히고 인정하라”
정부가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한다고 공식 발표한 21일 낮 12시 ‘일본군 성노예제(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근처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연 정기 수요시위에서 참석자들이 `2015 한일합의', `화해치유재단'이라고 적힌 종이를 찢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정부가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한다고 공식 발표한 21일 낮 12시 ‘일본군 성노예제(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근처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연 정기 수요시위에서 한 학생이 병원에 입원 중인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의 발언을 들으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강창광 기자
정부가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한다고 공식 발표한 21일 낮 12시 ‘일본군 성노예제(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근처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연 정기 수요시위에서 윤미향 대표가 “일본에게 받은 10억엔은 일본 정부에 그대로 돌려줘야 한다. 향후 일본 정부는 10억엔을 되돌려주는 문제를 논의해야지 그 돈을 다른 어디에 쓸 것인지를 협의해서는 절대 안된다”고 말하고 있다 . 강창광 기자
정부가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한다고 공식 발표한 21일 낮 12시 ‘일본군 성노예제(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근처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연 정기 수요시위에서 어린이들이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정부가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한다고 공식 발표한 21일 낮 12시 ‘일본군 성노예제(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근처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연 정기 수요시위에서 참석자들이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