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한상대 전 검찰총장 수사 공소시효에 막히나

등록 2019-06-03 18:14수정 2019-06-03 21:10

김학의 사건 개입 의혹 받는
윤갑근·박충근 등 전직 간부 3명
시효 남았어도 혐의 입증 어려워

검찰, 오늘 김학의·윤중천 기소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폭행과 뇌물수수 의혹 사건을 규명하기 위한 수사단 단장에 임명된 여환섭 청주지검장이 1일 오전 수사단 사무실이 있는 서울 송파구 동부지방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폭행과 뇌물수수 의혹 사건을 규명하기 위한 수사단 단장에 임명된 여환섭 청주지검장이 1일 오전 수사단 사무실이 있는 서울 송파구 동부지방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을 수사해온 검찰수사단(단장 여환섭 청주지검장)이 4일 김 전 차관과 윤중천씨를 각각 뇌물과 강간치상 등 혐의로 구속기소한다. 지난 4월1일 대규모 수사단을 꾸려 수사에 착수한 지 두달 만이다. 물증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핵심 피의자를 재판에 넘기는 ‘성과’를 올렸지만 수사단의 고민은 깊다. 법무부 검찰과거사위원회가 최근 수사를 촉구한 한상대 전 검찰총장 등 전직 검찰 간부들 처리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검찰수사단은 3일 “김 전 차관의 구속기간이 끝나는 4일 김학의·윤중천 두 사람을 기소하고 수사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속 뒤 김 전 차관은 검찰 조사에서 줄곧 진술을 거부했고, 윤씨 또한 구속 이후 검찰 조사에 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검찰은 지금까지 확보한 증거와 관련자 진술을 더해 혐의를 입증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다.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전 민정수석)과 이중희 변호사(전 민정비서관) 등의 2013년 경찰 수사 외압 의혹 수사결과도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과거사위가 수사를 촉구한 한 전 총장과 윤갑근 전 대구고검장, 박충근 전 춘천지검 차장 처리를 두고 수사단과 대검은 고심에 빠졌다. 과거사위는 이들이 윤중천씨와 교류하면서 “사건에 개입한 정황이 확인되고 있다”며 “수뢰죄 또는 수뢰 후 부정처사죄 등을 범한 것이 아닌지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지만, 우선 공소시효가 문제다.

김용민 법무부 검찰과거사위원회 위원이 지난달 29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 브리핑실에서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범죄 의혹과 과거 검·경 수사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검찰과거사위는 건설업자 윤중천씨와 한상대 전 검찰총장 등 검찰 고위직 간부와의 유착 의혹에 대해 수사를 촉구했다. 과천/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김용민 법무부 검찰과거사위원회 위원이 지난달 29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 브리핑실에서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범죄 의혹과 과거 검·경 수사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검찰과거사위는 건설업자 윤중천씨와 한상대 전 검찰총장 등 검찰 고위직 간부와의 유착 의혹에 대해 수사를 촉구했다. 과천/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과거사위가 밝힌 한 전 총장의 혐의는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재직하던 2011년, 검찰 수사를 받던 윤씨에게 유리하게 수사 주체를 바꿔줬다는 것이다. 이 의심이 사실이라 해도 한 전 총장이 받은 액수가 1억원 미만이면 5~7년인 뇌물죄 공소시효는 이미 끝났고, 1억원 이상이라야 시효가 살아 있다. ‘보험성 뇌물’을 단죄하는 ‘수뢰 후 부정처사’는 공소시효(10년)가 살아 있지만 적용이나 입증이 쉽지 않다.

윤 전 고검장의 경우 2013년 1차 김학의 수사 때 서울중앙지검 1차장이었고, 2차 수사 때는 대검찰청 강력부장으로 서울중앙지검 강력부를 지휘했다고 과거사위는 밝혔다. 그러나 김 전 차관 1차 수사에는 서울중앙지검 3차장 산하인 특수3부와 강력부가 관여해, 1차장은 결재권자가 아니었다. 검찰 관계자는 “설령 2차 수사 때 영향력을 행사했다 해도, 수뢰 후 부정처사가 되려면 접대할 당시 윤 전 고검장이 (미래에) 대검 강력부장을 하리라는 확정적 기대가 있어야 처벌이 가능하다”고 했다.

사건 소개 대가로 윤씨에게 리베이트를 준 의혹이 있는 박 전 차장에 대해선 ‘돈을 준 시기’가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변호사법 중 관련 조항의 공소시효는 7년으로 비교적 짧다.

공소시효 문제는 6년 전 검찰의 부실·봐주기 수사 결과여서, 수사단으로서는 법에 따른 ‘수사 불가’를 선언하기 쉽지 않다. 검찰 스스로 원죄를 재확인해야 하는 만큼 여론의 거센 비난 등 후폭풍이 불 수도 있다는 얘기다.

강희철 최우리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인내심 폭발 직전”…서울 도심서 ‘윤 대통령 퇴진’ 외친 시민들 1.

“인내심 폭발 직전”…서울 도심서 ‘윤 대통령 퇴진’ 외친 시민들

경찰, 문 전 대통령 딸 문다혜씨 음주운전 혐의로 입건 2.

경찰, 문 전 대통령 딸 문다혜씨 음주운전 혐의로 입건

필리핀 가사관리사 ‘밤 10시 통금’ 없앴다…10월 격주급제 도입 3.

필리핀 가사관리사 ‘밤 10시 통금’ 없앴다…10월 격주급제 도입

일요일 일교차 10도 이상 ‘감기 조심’…남부·제주에 가을비 4.

일요일 일교차 10도 이상 ‘감기 조심’…남부·제주에 가을비

치킨·맥주 들고 불꽃놀이 왔다가…“돗자리 펼 곳 없어” 발만 동동 5.

치킨·맥주 들고 불꽃놀이 왔다가…“돗자리 펼 곳 없어” 발만 동동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