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 이야기〉
읽어보아요/
〈우리 몸 이야기〉
이지유 글·장차현실 그림/미래아이·1만2000원 얼마 전 성교육 그림책에 관한 좌담회를 준비하면서 자료를 찾아본 적이 있었다. 그러면서 두 번 놀랐는데, 그런 책이 의외로 많다는 것, 그것들이 서로 너무 비슷하다는 것이었다. 성교육의 초점은 대부분 정자와 난자의 생성과 결합, 수정란의 성장에 맞춰져 있었다. 물론 그러면서 우리 몸의 소중함도 언급되고 있었지만, 의례적인 표현을 넘어서는 깊이와 재미, 다른 시각을 보여 주는 책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그런 요건을 충족시키는 몇 권의 책에 쏟아지는 관심과 환호를 보며, 이 방면이 우리 어린이 책 작가와 편집자들에게는 광활한 개척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었다. 그런 개척지에 하나의 이정표를 세우는 작품으로 〈우리 몸 이야기〉를 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태어나는 아기를 객관적인 대상으로 관찰하여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로 내세워 글을 시작하는 설정부터 독자를 끌어당긴다. 아기가 탄생하는 과정을 과학적으로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기적적인 섭리가 작용하는가를 토로하는 말투에서는 작가가 받았던 감동이 전해져 온다. 머리말에 쓰인 대로 아기를 낳은 적이 없는 남자 필자에게는 ‘남의 이야기’이겠지만 남매를 둔 이 여자 필자에게는 얼마나 절실한 ‘내 이야기’였을지가 아주 진한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이 ‘내 이야기’는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제 인간으로 태어난 이 존재의 몸속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가 웅장하게 그려지는데, 그러면서도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와 비유를 통해 머릿속으로 쏙쏙 들어온다. 글들은 짤막하지만 우리 몸이 얼마나 우주적인 규모로 이루어져 있고 얼마나 신비한 메커니즘으로 돌아가는지가 정교하게 얽혀 펼쳐진다. 인체에 관한 복잡한 전문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는 글이 즐길 만하고, 양념처럼 들어가 있는 엽기적인 에피소드들은 더욱 그렇다. 8장 ‘에피소드’ 편뿐만이 아니다. ‘보몬트의 창’이라는 일화는 꼭 찾아서 읽어보시기를! 초등 3학년 이상. 김서정/동화작가·평론가 sjchla@hanmail.net
이지유 글·장차현실 그림/미래아이·1만2000원 얼마 전 성교육 그림책에 관한 좌담회를 준비하면서 자료를 찾아본 적이 있었다. 그러면서 두 번 놀랐는데, 그런 책이 의외로 많다는 것, 그것들이 서로 너무 비슷하다는 것이었다. 성교육의 초점은 대부분 정자와 난자의 생성과 결합, 수정란의 성장에 맞춰져 있었다. 물론 그러면서 우리 몸의 소중함도 언급되고 있었지만, 의례적인 표현을 넘어서는 깊이와 재미, 다른 시각을 보여 주는 책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그런 요건을 충족시키는 몇 권의 책에 쏟아지는 관심과 환호를 보며, 이 방면이 우리 어린이 책 작가와 편집자들에게는 광활한 개척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었다. 그런 개척지에 하나의 이정표를 세우는 작품으로 〈우리 몸 이야기〉를 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태어나는 아기를 객관적인 대상으로 관찰하여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로 내세워 글을 시작하는 설정부터 독자를 끌어당긴다. 아기가 탄생하는 과정을 과학적으로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기적적인 섭리가 작용하는가를 토로하는 말투에서는 작가가 받았던 감동이 전해져 온다. 머리말에 쓰인 대로 아기를 낳은 적이 없는 남자 필자에게는 ‘남의 이야기’이겠지만 남매를 둔 이 여자 필자에게는 얼마나 절실한 ‘내 이야기’였을지가 아주 진한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이 ‘내 이야기’는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제 인간으로 태어난 이 존재의 몸속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가 웅장하게 그려지는데, 그러면서도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와 비유를 통해 머릿속으로 쏙쏙 들어온다. 글들은 짤막하지만 우리 몸이 얼마나 우주적인 규모로 이루어져 있고 얼마나 신비한 메커니즘으로 돌아가는지가 정교하게 얽혀 펼쳐진다. 인체에 관한 복잡한 전문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는 글이 즐길 만하고, 양념처럼 들어가 있는 엽기적인 에피소드들은 더욱 그렇다. 8장 ‘에피소드’ 편뿐만이 아니다. ‘보몬트의 창’이라는 일화는 꼭 찾아서 읽어보시기를! 초등 3학년 이상. 김서정/동화작가·평론가 sjchla@hanmail.net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