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대한 공포가 더욱 짙어지고 있다. 올해 1월까지 낙관론이 대세였던 시장에서도 연방준비제도의 최종 정책금리 전망치를 계속해서 상향 조정하고 있다. 이는 달러 강세와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한국은행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1일
경제정책연구센터(CEPR) 누리집에 올라온 연구를 보면,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 등은 미국 고용비용지수(ECI) 기준 임금 상승률이 올해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4.2%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 영향으로 올해 말에도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이 최소 3.5%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는 연준의 목표치(2%)를 크게 뛰어넘는 수준이다.
올해 초
임금 오름세의 둔화에서 비롯됐던 ‘낙관론’에 대한 반박인 셈이다. 지난해 말 실업률이 이례적으로 낮았던 와중에도 임금 상승세가 예상보다 더뎠던 것으로 확인되자, 시장은 물론 일부 학계에서도 “물가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선언할 때가 됐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실업률이 올라야 임금과 물가가 떨어진다는 ‘필립스 곡선’의 원리와 달리, 이번에는 그런 희생 없이도 물가가 내려올 것이라는 얘기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최근 임금의 움직임은 오히려 필립스 곡선에 잘 부합한다”며 “(노동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완화하지 않는다면 임금 상승률은 올해 말에도 4%를 넘길 것”이라고 했다.
시장에서도 비관론이 계속해서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지난 24일(현지시각) 발표된 1월 물가 지표가 예상치를 뛰어넘으면서 전망은 더욱 어두워졌다. 이날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를 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전망한 올해 9월 정책금리 상단은 연 5.60%였다.
지난해 말 연준이 예고한 정책금리 고점(5.25%)을 크게 웃돌 뿐 아니라, 일주일 전 시장에서 전망한 것보다도 0.05%포인트 더 높다. 지난 1월 4.0%대까지 내려갔던 미 국채 2년물 금리도 최근에는 4.8%대까지 올라온 상황이다.
한은 내부에서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연준의 통화긴축이 다시금 가속 페달을 밟으면 지난해 한국 금융·외환시장에 타격을 준 달러 강세 현상이 재현될 수 있는 탓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23일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향후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할 때 고려할 요인으로 환율을 꼽은 바 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28일 1322.6원에 마감하며 전달 말보다 90.7원(7.4%) 올라왔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