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여 자리 대통령 입김 작용
교수·공무원·언론인 등 ‘청탁’
교수·공무원·언론인 등 ‘청탁’
한나라당 주변에서 벌써 ‘줄대기’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통령은 장·차관 등 200여명의 고위 공직자를 임명한다. 정부기관·공기업까지 포함해 새 정부가 영향을 끼치는 인사는 모두 2만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선대위의 한 핵심관계자는 23일 “이곳 저곳에서 연락이 엄청나게 온다”며 “공무원, 교수, 언론인 등으로부터 ‘일하고 싶다’는 연락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핵심 의원들에게는 50~100여명씩의 외부 인사들이 연락을 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공무원들 가운데는 행정 관료는 물론 검찰, 경찰 간부들까지 연락을 해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줄대기’의 1차 목표는 ‘인수위 입성’이다. 인수위는 법률상 위원장 1인과 부위원장 1인 및 2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도록 돼 있지만, 민간 인사들과 정부 파견 공무원들이 추가로 전문위원과 사무직원 등으로 참여해 전체 250명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무원들의 청탁은 대개 “인수위를 거쳐 청와대에서 일하고 싶다”는 것으로 모아진다. 인수위 인사들이 새 정부에서도 요직에 중용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간판’이 필요한 원외 인사들은 공천을 받기 전까지 인수위에 이름을 올리고 싶어하는 바람을 내비치기도 한다.
이미 시작된 총선 공천 경쟁과, 청와대 비서진 등을 노리는 자리 다툼도 치열하다. 주로 당 안팎의 정치 신인이나 당료들이 다툼에 뛰어들고 있다. 곽성문 의원이 탈당한 대구 중·남구는 벌써부터 “경쟁률이 20대 1”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이명박 당선자 쪽의 한 관계자는 “공천 신청이냐, 청와대로 가느냐에서 먼저 갈리고, 그 아래에는 정부냐, 공기업이냐 등 ‘자리 다툼’이 계층별로 이뤄지고 있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심지어 중·하위직 공무원이나 공기업 직원들의 승진 또는 보직변경 인사 청탁까지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런 청탁의 대부분이 이 당선자에게는 전달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서울시장 때부터 이 당선자와 함께 일해온 한나라당 관계자는 “이 당선자는 서울시장 시절 ‘인사 청탁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오히려 불이익을 주라’고 말할 정도였다. 섣불리 이 당선자에게 인사청탁 내용이 들어가면 역효과를 볼 수도 있다”며 “실무 단계에서 거른 뒤 꼭 필요한 사람이 있다면 나중에 한꺼번에 (이 당선자에게) 보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