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수석 비서관들이 24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제1차 국정과제 보고회에 참석해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을 듣고 있다. 왼쪽부터 곽승준 국정기획수석, 박재완 정무수석, 이종찬 민정수석, 김중수 경제수석, 박미석 사회정책수석, 이주호 교육과학문화수석. 청와대 사진기자단
공개 앞서 자체 검증 거쳐
청와대는 24일 ‘청와대도 강부자’라는 시선은 부당하다며 적극 해명했다.
이동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명박 대통령 및 수석비서관 재산 등록 현황과 관련해 “비판할 건 비판하고 의혹을 제기하되 불필요한 소모적 논란을 일으켜선 안된다”고 말했다. 이는 불법 사실이 없다면, 단순히 재산이 많다는 것으로는 비난하지 말아달라는 당부다.
이 대변인은 “고위공직자 재산공개는 공직에 취임한 이후 지위를 이용해서 부당한 방법으로 축재하는 것을 봉쇄하자는 취지에서 실시되는 것”이라며 “단지 재산이 많다는 것이 무조건 공격의 대상이 돼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이를 빌미로 사회적 증오를 증폭시키거나 부적절한 논란을 키우는 것은 소모적인 행태”라며 “앞으로 추가 의혹이 제기돼 소명요구가 있으면 언제든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또 재산총액 1~2위를 기록한 곽승준·김병국 수석을 제외하면 청와대 장·차관급 비서관들의 평균 재산이 “20억원 정도”라며 “그것도 서민 기준으로는 적은 게 아니지만, 20~30년 사회생활 한 분들이 아파트 한 채에 몇 십억원씩 하는데, 일반 국민들 기준에 비춰 지나치다고 얘기하긴 좀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날 재산공개에 앞서 청와대는 나름의 자체 검증을 시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일단 재산공개 대상 수석비서관들한테서 해명자료를 내도록 했다. 이어 소명내역이 부족한 것으로 생각되는 인사들을 지난 23일 별도로 소집했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기자 출신인 이동관 대변인을 중심으로 ‘자체 청문회’를 벌여 꼬치꼬치 재산 축적 경위 등을 캐물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청와대는 “일부 비서관들의 재산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그 과정에서 불법 사실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