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 발사가 성공하자 전날부터 취재열기에 휩싸였던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도 박수소리가 한바탕 시원하게 울려퍼졌다. 100명에 가까운 내.외신 기자들은 이날 오후 내내 나로호 발사 준비과정을 프레스룸에 설치된 TV 화면을 통해 지켜보다 발사 15분전 발사자동 카운트다운이 ...
한국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Ⅰ)'의 성공적인 발사에는 국내 우주연구의 산실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의 7년간에 걸친 노력과 땀이 고스란히 배어 있다. 2002년 8월 나로호 개발사업에 착수한 항우연은 대학과 연구소, 산업체와 협력체제를 구축해 발사체 시스템 개발을 총괄하면서 한국 최초의 우주 ...
우리나라 최초의 이지스 구축함인 세종대왕함(7천600t급)이 25일 오후 5시 발사된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1)의 궤적을 성공적으로 탐지 추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고위 관계자는 이날 "해군으로부터 세종대왕함이 나로호의 궤적을 성공적으로 탐지 추적했다는 보고를 받았다"면서 "...
해외 언론도 25일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의 발사 소식을 일제히 긴급 뉴스로 보도하며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AP, 로이터 등 주요 외신은 나로호 발사 소식을 긴급 타전했으며 CNN은 발사 현장을 연결해 발사 장면을 생중계했다. 로이터 통신은 나로호 발사가 한국의 우주 프로그램에 큰 힘이 될 것이...
한국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Ⅰ)의 성공적인 발사에는 7년간 한 곳만 보고 달려온 연구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다. 이들은 '우리가 만든 위성을, 우리의 로켓으로, 우리 땅에서 발사한다'는 일념 하나로 사랑하는 가족도 뒤로 한 채 역경의 시간을 보내왔지만, 창공을 가르며 솟아오르는 나로호를 바라보...
25일 오후 5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에 실려 우주로 쏘아 올려진 '과학기술위성 2호' 위성은 우주 공간에서 어떤 과정을 겪게 될까. 나로호 발사 후 540초 만에 발사장으로부터 2천50㎞ 떨어진 태평양상공에서 분리된 위성은 남극을 통과해 다시 북극 지역...
나로호(KSLV-I) 개발사업은 100㎏급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킬 첫 우주발사체 개발 및 발사를 목표로 지난 2002년 8월 시작됐으며 마침내 7년여 만인 25일 발사에 성공했다. 다음은 나로호 개발 사업의 주요 일지. ▲2002.8 = 소형위성발사체 개발계획 확정 및 사업착수 ▲2004.9.21 = 한·러 우...
한국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Ⅰ)'가 19일 성공적으로 발사되면서 그간 나로호 발사의 전초기지 역할을 해온 '나로우주센터'가 국내외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나로우주센터는 우주개발을 위한 첨단기술의 요체로 발사체 및 인공위성의 조립, 점검, 발사, 비행 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일찍이 한국의 우주...
'1992년 위성개발, 2009년 우주발사체 성공' 선진 우주개발국들보다 40년가량 늦은 1990년에 본격적으로 우주개발 사업을 시작한 우리나라가 우주강국으로 우뚝 올라섰다. 지난해 첫 우주인을 배출한 데 이어 드디어 25일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에서 소형 인공위성 발사체 나로호(KSLV-I)를 성공적...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의 성공적 발사는 우주발사체의 완전자력개발에 나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번 나로호의 핵심기술이라고 볼 수 있는 1단 로켓은 러시아와의 공동개발이라고는 하지만 우리의 적극적인 참여가 사실상 어려웠다. 더욱이 우주기술보호협정 등으로 액체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 1989년 국가 항공우주 전문연구기관으로 설립된 이후 항공우주과학기술 영역에서 새로운 탐구를 주도해왔다. 주요 연구개발 분야는 크게 우주발사체 개발, 인공위성 개발, 첨단 항공기 개발 등이 있으며, 지난해 4월에는 한국 최초 우주인 배출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1992년 8...
'우리는 이제 우주로 간다' '로켓박사'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이 2006년 펴낸 책 제목이기도 한 이 문구는 국내 항공우주인 모두의 간절한 염원을 담고 있다. 마침내,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25일 우주로 비상함으로써 항우연 소속 250명 연구원의 지난 7년간 노력이 결실을 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