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후 경기 수원시 아주대병원 장례식장에 고 김혜빈씨의 영정이 걸려 있다. 유족들은 가해자보다 피해자가 더 기억되길 바라는 마음에 김씨의 실명과 사진을 공개했다. 연합뉴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교통사고가 아니라 테러에 준하는 범죄인데, 정부는 선례가 없다며 지원이 어렵다고 하네요.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들과 피해 유가족이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관심을 가져주세요.”
분당 서현역 무차별 범죄 피해자 고 김혜빈(20)씨의 어머니는 지난 30일 한겨레에 이렇게 호소했다. 김씨의 유가족은 전날
피해자를 기억해달라며 언론에 김씨의 이름과 얼굴을 공개했다. 김씨는 지난 3일 서현역 인근에서 인도로 돌진한 차량에 치여 뇌사 상태로 연명치료를 받아오다 25일 만에 끝내 숨졌다.
같은 사건의 또 다른 피해자인 고 이희남씨 유족 역시 지난 11일 얼굴과 이름을 언론에 공개했다.
서현역 범죄 유족들이 최근 잇따라 피해자의 신상을 언론에 공개하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는 강력범죄 피해자 유족들이 피해 사실 자체를 최대한 숨기려했던 과거와 달라진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피해자의 모습과 사연이 공개된 뒤 고인에 대한 추모 분위기가 형성되고 관련 제도 개선으로도 이어진다면, 유족들의 트라우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한다.
분당 서현역 흉기 난동 사건 피해자 이희남씨. 케이비에스(KBS) 뉴스 갈무리
서현역 범죄 피해 유족들은 가해자 위주의 서사가 주목받는 데 반대하며 관련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김씨 어머니는 “가족들은 갑작스러운 범죄 피해로 생계가 중단되고 수천만원의 병원비를 내야할 처지인데, 정부는 일부 병원비와 긴급생계비 100만원만 지원한다”며 “‘살인자’일 뿐인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에 관심을 갖고 함께 제도 개선 목소리를 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희남씨 유족들도 지난 11일 한국방송(KBS) 인터뷰에서 “단순 차 사고가 아니라 테러다. 가해자에게 서사를 부여하는 건 정말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과거에도 범죄 피해자 유족들이 피해자를 언론에 공개하는 일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강력범죄 피해자 유족들은 2차 피해 우려 등으로 노출을 꺼려왔었다. 이용우 한국범죄피해자지원중앙센터 이사장은 “범죄 피해 사실을 외부에 알리는 게 또 다른 트라우마가 될 수 있다고 보고 피해 사실 자체를 외부에 알리기를 꺼리는 가족들이 대부분”이라고 했다. 김씨 어머니는 “아무 행동도 하지 않으면 사건이 묻힐 수 있어 신상 공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악성 댓글이나 2차 피해를 감수했다”고 말했다.
피해자 신상이 공개된 직후 김씨가 생전 다녔던 건국대 예술디자인대학 학생회와 서현동 지역 주민들은 유족 동의를 받고 전날부터
‘서현역 사건 피해자분들과 유사 범죄피해자분들을 위한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흉악범에 대한 가석방 없는 종신형 적용, 이번 사건 관련 지자체 차원에서 조속한 지원책 마련, 범죄피해자보호법에서 규정한 ‘중복 지급 금지 원칙’ 개정 등을 촉구했다.
이런 변화는 세월호·이태원 참사와 ‘윤창호법’, ‘민식이법’ 등 법 제정 과정에서 언론을 통해 피해자들의 사연이 소개되며 국민적인 추모 분위기가 형성되고, 피해자 지원책 및 제도개선에 대해서도 당당하게 요구하는 모습이 긍정적으로 조명되는 영향이 있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정민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언론에서 피해자들의 사연이 소개되면서 애도 분위기가 형성되고 참사에 대한 사실관계를 바로잡는 데 큰 도움이 됐다”며 “이를 통해 유족들이 죽음이 발생한 사회 구조적 문제를 적극적으로 지적하고 알릴 수도 있었다”고 말했다.
백종우 경희대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피해자 공개 이후 우리 사회가 죽음의 의미를 잘 함께 생각하고 다시 재발하지 않을 시스템을 만들어나가려 노력한다면 유족이 받은 상처에 대한 치유에도 분명히 도움이 될 거라고 본다”고 했다.
한겨레와 한겨레21이 지난 4월5일 159명이 숨진 이태원 참사 발생 159일째를 맞아 서울광장 분향소에서 무료로 배포한 ‘미안해, 기억할게’ 특별판 표지. ‘미안해, 기억할게’는 한겨레와 한겨레21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의 이야기를 취재해 기록한 연재물이다.
고병찬 기자
kick@hani.co.kr 박시은 교육연수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