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여론조사
61% “검찰 수사 공정하지 않았다”
국민 절반 “정부가 충분한 예우안해”
61% “검찰 수사 공정하지 않았다”
국민 절반 “정부가 충분한 예우안해”
<한겨레>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플러스’에 맡겨 지난 30일 조사한 결과를 보면, 국민들은 노 전 대통령 서거의 주된 책임이 검찰에 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전 대통령 서거의 책임’과 관련한 응답 1순위에서 단순 수치로는 ‘노 전 대통령 자신’(27.9%)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검찰(22.7%)과 이명박 대통령(14.2%), 한나라당·여권(10.5%) 등을 합할 경우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7.4%에 이르렀다. 언론을 꼽은 응답자도 15.5%에 달했다.
▶여론 조사 전문 보기
특히 ‘책임 있는 세 곳’(1, 2, 3순위 복수응답)을 꼽도록 하자, 응답자들은 검찰(56.4%)과 언론(49.1%)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이명박 대통령(34.8%)과 한나라당·여권(34.4%)을 꼽은 이들도 적지 않았다. ‘노 전 대통령 자신’이라고 답한 이들은 36.7%로 조사됐다.
‘책임론’은 나이대별로 차이를 보였다. 1순위만으로 분석했을 때 20대는 검찰(25.7%)과 언론(23.4%)를 지목했고, 30대는 검찰(30.6%)과 노 전 대통령(20.6%)에게 주로 책임을 돌렸다. 반면 50대와 60대는 노 전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는 의견이 각각 35.0%, 44.1%에 이르는 등 다른 연령대에 비해 훨씬 높았다. ‘노 전 대통령 서거가 정치보복 때문이라는 의견’을 두고선,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그렇다’(59.3%)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답은 34.7%로 조사됐다. 특히 30대(71.3%)와 40대(69.9%)에서 ‘정치보복’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검찰 수사의 공정성에 대해서도 의심을 갖는 이들이 많았다. ‘검찰 수사가 공정하게 이뤄졌는지’를 묻자, ‘공정하지 않게 이뤄졌다’(61.3%)는 답이 ‘공정했다’(23.8%)는 의견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30대(73.7%)와 40대(70.2%)에서는 10명 가운데 7명꼴로 ‘공정하지 않았다’고 답했고,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층에서 ‘공정하지 않다’(75.5%)는 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현 정부의 예우’를 놓고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1.2%)이 충분히 예우·애도를 표하지 않았다고 답했고, 특히 20대(60.1%)와 30대(65.3%)에서 ‘예우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충분히 예우와 애도를 표시했다’는 답은 44.4%로 조사됐다. ‘이명박 대통령의 유족·국민에 대한 사과’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6%가 ‘동의한다’고 답해, ‘동의하지 않는다’(37.5%)는 응답보다 훨씬 높았다. ‘사과해야 한다’는 의견은 30대(67.8%)에서 가장 많았고, 40대(61.5%), 20대(58.9%) 차례였다.
노 전 대통령 서거의 책임자로 검찰이 지목되면서, 검찰 총책임자에 대한 사퇴 요구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이 사퇴해야 하느냐’고 묻자, 응답자의 절반(51.6%)이 ‘동의한다’고 답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은 37.6%에 그쳤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블루칼라에서 각각 63.3%, 61.6%가 ‘동의한다’고 답하는 등 직업별로 고르게 사퇴 요구가 높았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서거의 책임이 내각 개편으로 이어지는 것을 두고서는 부정적 견해가 더 많았다. ‘국무총리 등 내각 전면개편을 해야 한다고 보는가’라는 물음에, 응답자의 46.1%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동의한다’는 답은 35.8%로 나타났다. 특히 50대와 60대에서 절반 이상이 반대 의견을 밝힌 것으로 조사됐다. 50대는 50.8%가, 60대는 53%가 ‘내각 개편’에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반면, 30대(50.6%)는 절반이 내각 개편에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책임론’은 나이대별로 차이를 보였다. 1순위만으로 분석했을 때 20대는 검찰(25.7%)과 언론(23.4%)를 지목했고, 30대는 검찰(30.6%)과 노 전 대통령(20.6%)에게 주로 책임을 돌렸다. 반면 50대와 60대는 노 전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는 의견이 각각 35.0%, 44.1%에 이르는 등 다른 연령대에 비해 훨씬 높았다. ‘노 전 대통령 서거가 정치보복 때문이라는 의견’을 두고선,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그렇다’(59.3%)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답은 34.7%로 조사됐다. 특히 30대(71.3%)와 40대(69.9%)에서 ‘정치보복’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검찰 수사의 공정성에 대해서도 의심을 갖는 이들이 많았다. ‘검찰 수사가 공정하게 이뤄졌는지’를 묻자, ‘공정하지 않게 이뤄졌다’(61.3%)는 답이 ‘공정했다’(23.8%)는 의견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30대(73.7%)와 40대(70.2%)에서는 10명 가운데 7명꼴로 ‘공정하지 않았다’고 답했고,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층에서 ‘공정하지 않다’(75.5%)는 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현 정부의 예우’를 놓고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1.2%)이 충분히 예우·애도를 표하지 않았다고 답했고, 특히 20대(60.1%)와 30대(65.3%)에서 ‘예우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충분히 예우와 애도를 표시했다’는 답은 44.4%로 조사됐다. ‘이명박 대통령의 유족·국민에 대한 사과’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6%가 ‘동의한다’고 답해, ‘동의하지 않는다’(37.5%)는 응답보다 훨씬 높았다. ‘사과해야 한다’는 의견은 30대(67.8%)에서 가장 많았고, 40대(61.5%), 20대(58.9%) 차례였다.

경찰이 지난 30일 새벽 시민들이 서울 태평로 서울시의회 앞 도로에 쳐놓은 노란풍선 띠를 넘어 시청앞 서울광장을 향해 뛰어가고 있다. 경찰은 곧이어 서울광장을 전경버스로 에워싸 시민들의 접근을 차단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노 전 대통령 서거의 책임자로 검찰이 지목되면서, 검찰 총책임자에 대한 사퇴 요구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이 사퇴해야 하느냐’고 묻자, 응답자의 절반(51.6%)이 ‘동의한다’고 답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은 37.6%에 그쳤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블루칼라에서 각각 63.3%, 61.6%가 ‘동의한다’고 답하는 등 직업별로 고르게 사퇴 요구가 높았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서거의 책임이 내각 개편으로 이어지는 것을 두고서는 부정적 견해가 더 많았다. ‘국무총리 등 내각 전면개편을 해야 한다고 보는가’라는 물음에, 응답자의 46.1%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동의한다’는 답은 35.8%로 나타났다. 특히 50대와 60대에서 절반 이상이 반대 의견을 밝힌 것으로 조사됐다. 50대는 50.8%가, 60대는 53%가 ‘내각 개편’에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반면, 30대(50.6%)는 절반이 내각 개편에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