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4대강 금강 구간 사업과 관련해, 충남도 산하 금강사업 특별위원회가 25일 ‘금강에서 대형 보 건설 및 대규모 준설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금강보·부여보 공사를 지금 중단하되, 이들 보의 완공 여부는 금남보 완공 뒤 2년 동안 효과를 지켜본 다음에 결정하자”고 정부에 제안했다. 충남도 ...
교육과학기술부가 ‘국립대 선진화’를 명분으로 추진하는 국립대 법인화 정책에 대해 전국 국립대 교수회 등이 성명을 잇따라 발표하고, 정부에 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강원대·경북대·경상대·부산대·전남대·전북대·제주대·충남대·충북대 등 전국의 ‘거점 국립대’ 9곳의 교수회 회장 9명은 18일 충남대에서 기자...
쌀값 보장과 태풍 피해의 추가 지원 등을 요구하는 농민들의 집단 행동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충남도연맹(의장 강사용)은 13일 “오는 18일부터 농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충남도청 앞에서 108배를 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전농 충남도연맹은 “이상기후와 태풍으로 수확량이...
‘교육감 직선제를 폐지하고, 지방교육청을 지방정부에 통합해야 한다’는 시·도지사들의 주장에 대해 전국 교육감들이 발끈하고 나섰다. 전국 시·도교육감 16명은 12일 성명서를 내어 “교육을 정치적 시녀로 전락시키려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일원화 주장’의 철회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교육감들은 성명에...
함께 움직이는 시민사회 지난 6·2 지방선거 이후 시민단체들은 행정과 의정 등에 대한 감시·비판뿐만 아니라 ‘거버넌스’(민관 협치) 마련에도 힘을 쏟고 있다. 충남·충북·대전의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지난 8월12일 출범한 ‘행정도시 원안 추진 충청권 공동대책위원회’(행정도시 공대위)에서 주축을 맡고 있다. 행정...
대전지역 대학생들이 3명 중 1명꼴로 최저임금을 받지 못한 채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최저임금받기운동본부는 30일 “과외나 일용직을 제외하고 주 2일 이상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대전지역 대학생 585명 가운데 36.7%인 215명이 최저임금 이하의 급여를 받으며 일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
야생동물의 구조·치료와 재활을 전담하는, 전국 최대 규모의 구조센터가 문을 열었다. 충남도는 8일 예산군 예산읍 공주대 예산캠퍼스에서 충남 야생동물 구조센터’의 문을 열었다. 1만1980㎡ 터에 사업비 15억원을 들여 지은 이 센터는 5000여㎡에 이르는 재활훈련장을 비롯해 관리동·조류동·포유류동 등으로 이뤄졌다...
충남·충북·대전의 지방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 시·도 의회 의장, 시민단체 등이 함께 모인 ‘행정도시 원안 추진 충청권 공동대책위원회’(행정도시 공대위)가 12일 공식 출범했다. 행정도시 공대위는 이날 충남도청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행정도시의 정상 추진을 위해 지난달의 ‘민 따로, 관 따로, 정 따로’ 방식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