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시민단체들이 반년 남짓 표류 중인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특별법의 이른 제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 민예총과 광주 경실련 등 광주·전남지역 시민단체 69곳은 17일 오후 광주시 동구 금남로 1가 광주시민단체협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는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의 범위·계획·재원을 담은 특...
열린우리당 전북지사 순회경선이 2파전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유성엽(전 정읍시장) 후보가 상대방 김완주(전 전주시장) 후보의 재산 허위신고 의혹을 제기하며 경선일정 연기를 주장하고 나섰다. 유 후보는 18일 “김 후보의 재산등록이 위법한지 가리기 위해 2~3일 연기해야 하고, 이 기간에 중앙당은 후보자격 유지문...
영.호남 지역 10개 마을 '돌담길'이 문화재로 등록된다.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경남 고성 학동마을을 비롯해 ▲경남 거창 황산마을 ▲산청 단계마을 ▲경북 군위 부계 한밤마을 ▲성주 한개마을 ▲전북 무주 지전마을 ▲익산 함라마을 ▲전남 강진 병영마을 ▲담양 창평 삼지천마을 ▲대구 옻골마을의 돌담길을 18...
인천과 중국 칭다오에 ‘한·중 물류센터’가 각각 세워진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 16일 칭다오시와 한·중 물류센터 건립사업에 관한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인천은 내년 말, 칭다오는 2008년까지 ’한·중 물류센터’를 건립해 운영에 들어가기로 했다. 물류센터는 한·중 두나라의 물류기업들이 교차 합...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인천지역 기초단체장, 지방의원 후보들이 ‘무소속 연대’를 결성하는 등 조직적으로 대응할 움직임을 보여 주목된다. 그러나 애초 한나라당 성향이 드셌던 서울에선 집단 공천 탈락에도 불구하고 조직적인 ‘안티’나 ‘연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있다. 인천 남구의 경우 한나라당이 경선 ...
여성부 “운영 정지처분 불가피” 서울 도봉구청이 관내 한 어린이집에서 보조금을 허위로 타낸 사실을 적발하고도 ‘솜방망이 처벌’에 그쳐 논란이 일고 있다. 도봉구청과 서울시청은 지난 1월 합동 감사를 통해 조아무개 ㅇ어린이집 원장이 가짜로 서류를 꾸며 보조금 1568만5천원을 허위로 타낸 것을 밝혀냈다. 그러...
인천시 옛 도심권인 서구 가정오거리와 남구 도화동 일대가 도시균형발전사업지구로 지정돼 2012년까지 입체화복합도시 등으로 개발된다. 인천시 도시발전균형위원회는 17일 회의를 열어 서구 가정동 571 일대와 남구 도화동 43-7 주변을 도시균형발전사업지구로 지정했다. 서구 가정오거리지구의 대상면적은 29만4...
‘남산에서 뱀 조심하세요’ 서울시 푸른도시국은 17일 남산 생태계가 살아나면서 ‘꽃뱀’이라 불리는 ‘유혈목이’가 새롭게 관찰됐다고 밝혔다. 이밖에 도롱뇽과 산개구리·가재·다람쥐 등 6종의 양서파충류가 살고 있는 확인됐다. 이는 지난 1990년 ‘남산 제모습 가꾸기’ 사업을 시작할 당시엔 남산에 ‘관리대상’이었던 ...
청소년들은 어린이 교육·학습지도 등의 사회 봉사를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천시 종합자원봉사센터가 제천여고생 73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자원봉사 현황을 조사했더니 어린이 교육 및 학습지도(25.9%), 사회복지시설 등 방문봉사(21.3%), 공공기관 사무보조(17.4%), 장애인 복지시설 방문 봉사(10.1%) 등의...
대전시교육청은 7·20 교육여건 개선사업(학급당 학생 수 30명 이내)에 따라 마련한 중장기 학교신설 계획을 전면 재검토한다고 17일 밝혔다. 재검토 방침은 △낮은 출산률에 따른 학생 수 감소 △교육재정 악화 △개발사업계획 지연 및 변경 △학교설립 기준 변경에 따른 학생수용여건 변화 등에 따른 것이다. 시 교육청...
“오정못이 주민 품으로 돌아왔다.” 대전 오정동의 기원인 오정못 발원지가 복원됐다. 대전 한남대(hnu.ar.kr)는 17일 학교 경상대 앞에서 개교 50년을 기념해 ‘린튼 기념공원’ 개원식을 열었다. 8500㎡ 터에 꾸민 린튼 기념공원은 오정못 발원지인 옹달샘에서 오정못까지 80여m에 물길을 내고 나무와 의자를 갖춘...
충북지역 인권 보호의 양대 보루로 불리는 청주지방법원과 청주지방검찰청 등 사법기관이 장애인 편의시설을 제대로 설치하지 않는 등 장애인 인권에 턱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장애인권연대와 마을공동체 교육연구소는 17일 “지난 2~3월 충북도청, 청주시청, 청주지법, 청주지검, 충북경찰청 등 행정·사법기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