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빚쟁이 소년 ‘선생님, 나 좀 봐주세요’

등록 2007-08-24 16:43

<김 구천구백이>
<김 구천구백이>
읽어보아요 / <김 구천구백이>
송언 글·최정인 그림/파랑새어린이·8000원

“여봇! 또 술 마셨어요? 내가 못 살아!” “시끄러?m! 어서 밥이나 차려!” “몰라, 몰라요! 어휴, 동네 창피해!” 이게 웬 소란이냐며 놀랄 것이다. 그러나 이 사건 아닌 사건은 지금도 기억이 생생한 1970년 대 초, 아이들의 소꿉놀이 한 장면이다. 아이들이 소꿉놀이를 할 때면 이런 장면이 그려지곤 했다. 아이들은 저마다 자기 집에서 자주 벌어지는 일을 가지고 연극하듯 놀았다. 곗돈 이야기나 공부하라고 아이들을 야단치는 이야기도 빠지지 않았다. 즉, 아이들의 세계는 예나 지금이나 어른들의 밝거나 어둡거나, 그 축소판이다. 〈김 구천구백이〉가 그렇다.

주인공인 초등학교 3학년 남자아이, 건하는 철부지 말썽꾸러기, 천방지축 사고뭉치다. 또 건하의 일상은 어른들의 욕심, 어른들의 실수, 어른들의 좌충우돌 세상사는 이야기와 다름없다. 건하는 맞벌이 부모님 덕(?)에 누구에게도 간섭받지 않고 산다. 그래서 날마다 일기장 끝에 ‘오늘도 기분이 브라보!’라고 써서, 별명이 김 브라보이다. 그러던 어느 날, 로봇 장난감 사건으로 건하는 뉴스에서나 보아왔던 ‘빚쟁이 어린이’가 되고, ‘김브라보’에서 ‘김칠천(원)’으로 전락한다. 더구나 하루도 쉬지 않고 건하를 압박하는 존재는 담임선생님이다! “김 칠천. 내일도 칠천 원 안 가져오면 별명이 김 칠천백으로 올라가. 모레는 김 칠천이백으로, 글피는 김 칠천삼백으로. 네가 언제까지 버티는지 두고 보자.” 선생님은 왜 이리 지긋지긋하게 건하를 괴롭힐까? 하지만 건하도 만만찮다. 선생님이 “코뿔소처럼 무지막지하고, 악어가죽처럼 질기고, 염소처럼 염치없는 제자는 일찍이 없었다. 그게 바로 너다!”라고 비명을 지를 만큼, 건하는 막무가내다. 선생님은 건하의 훼방자일까, 수호천사일까? 어린이 빚쟁이가 된 건하는 이 위기를 어떻게 해결할까?

작가는 머리말에서 어린이의 친구가 되고 싶다고 했지만, 아이들은 이미 선생님의 친구가 되고 싶어 요란하게 달려오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일까, 한껏 재미있고 즐거운 작품인데 마음 한켠이 싸 하니 뭉클해진다. 초등 저학년.

노경실/작가 ksksnh@naver.com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