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종합부동산세가 많이 늘어나 고가 주택 보유자들의 불만이 크다. 하지만 지난해 집값이 워낙 많이 올라 우리나라의 보유세 실효세율은 여전히 선진국의 2분의 1에서 3분의 1 수준이다. 사진은 서울 강남 삼성동에서 바라본 대치동과 도곡동 아파트 단지.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올 주택분 대상인원 15만명 늘어날 듯
종부세액 71% 2채이상 보유자가 부담
종부세액 71% 2채이상 보유자가 부담
올해 종합부동산세를 내야 하는 주택의 90%를 다주택 보유자들이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이 내게 될 종부세가 전체 주택 종부세의 73%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정부는 15일 과천청사에서 재정경제부·행정자치부·국세청 합동 브리핑을 열어 이런 내용의 ‘2007년도 보유세 전망 및 활용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해 집값 급등과 종부세 과표 적용률 인상에 따라 올해 ‘개인 주택분’ 종부세 대상 인원이 38만1천명(가구주)으로 지난해보다 15만명(64%)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국 총 가구의 2.1%, 주택 보유 가구의 3.9% 수준이다. 또 개인 주택분 종부세액은 4552억원에서 1조2194억원으로 168%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두 채 이상 다주택 보유자는 24만1천명으로 종부세 대상자의 63.5%다. 이들이 소유한 주택 수는 118만3천채로 종부세 대상 주택의 89.4%를 차지한다. 또 이들 다주택자가 부담하는 종부세액은 8955억원으로 종부세액의 73.4%에 이른다.
공시가격 15억원을 초과하는 주택 보유자가 내는 종부세 납부액은 5900억원으로 전체의 절반에 근접하는 48.8%를 차지했다. 반면 공시가격 6억~9억원대 주택 소유자들의 납부액 비율은 13.4%였다. 종부세액 100만원 이하를 내는 사람의 비중은 42.2%였으며 △100만~500만원대 38.9% △500만~1000천만원대 11.7% △1천만원 초과 7.2% 등이었다.
또 주택과 토지를 합한 총 종부세 대상 인원은 모두 50만5천명으로 지난해보다 16만4천명(48%) 늘어난다. 주택과 토지를 합한 총 종부세 납부 금액은 2조8814억원으로 지난해(1조7179억원)보다 68%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종부세 활용 방안과 관련해 일차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거래세 세수 감소분을 보전하고, 남은 금액은 지자체 균형 발전에 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올해 종부세 세수 가운데 1조6천~7천억 가량을 ‘방과후 영어체험센터’ 설치 등 교육 분야와 노인·장애인, 기초생활 보장 대상자 지원 등 복지 분야에 배분할 방침이다.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투기 억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세제의 일관성 있는 추진이 중요하다”며 “종부세 과표 상향 조정이나 양도소득세 감면 등의 조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올해 주택분 종부세 납부자 중 다주택자 비중 / 주택분 종부세 납부자 수와 납부 세액 추이
정부는 종부세 활용 방안과 관련해 일차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거래세 세수 감소분을 보전하고, 남은 금액은 지자체 균형 발전에 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올해 종부세 세수 가운데 1조6천~7천억 가량을 ‘방과후 영어체험센터’ 설치 등 교육 분야와 노인·장애인, 기초생활 보장 대상자 지원 등 복지 분야에 배분할 방침이다.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투기 억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세제의 일관성 있는 추진이 중요하다”며 “종부세 과표 상향 조정이나 양도소득세 감면 등의 조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