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택나서는 유진룡 전 차관 사행성 게임 비리 의혹과 관련해 5일 검찰로부터 출국금지된 유진룡 전 문화관광부 차관이 구의동 자택을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출금’ 유진룡 전차관 곧 조사착수
검찰, 2002년 김용환씨 금품 로비설 규명위해
상품권 도입 때 주무국장…문화부 6~7명도 출금 성인 오락기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5일 유진룡(50) 전 문화관광부 차관이 2002년 상품권 발행업체인 안다미로 대표 김용환(48)씨한테서 금품 로비를 받았다는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4일 밤 유씨를 출국금지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유씨를 곧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경품용 상품권 도입에 관여한 문화부 공무원 6~7명도 함께 출국을 금지했다. 검찰은 경찰청 특수수사과가 지난해 1~7월 유씨의 관련 의혹을 내사한 기록을 지난달 30일 넘겨받아 검토하고 있다. 경찰은 김용환씨가 2002년 경품용 상품권 도입과 관련해 당시 이 업무를 총괄하는 문화산업국장이었던 유씨와 다른 공무원 등에게 1억원을 건넸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내사를 벌였다. 경찰은 김씨와 김씨 가족들의 계좌를 추적하다 ‘증거 불충분’ 등을 이유로 지난해 7월 내사를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경찰 수사팀 관계자는 “김용환씨가 유 전 차관에게 문화부의 상품권 관련 고시를 변경해 자신도 상품권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해달라는 명목으로 돈 로비를 했다는 제보를 받고 내사를 시작했으나, 혐의를 입증할 만한 단서가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검찰 관계자는 “내사 기록을 보면 계좌추적을 하다가 돈이 현금으로 빠져나가는 바람에 추적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유 전 차관은 당시 경품용 상품권을 도입할 때 중요한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어떻게 이런 정책이 나왔는지 다 밝히기 위해서라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유 전 차관은 “김용환씨가 누군지 모르고, 만난 적도 통화한 적도 없다”며 “경찰의 조사를 받은 사실도 없다”고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한편, 감사원도 유 전 차관을 직접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 관계자는 “유 전 차관이 경품용 상품권 제도가 도입될 당시 문화부의 주무국장이었던 만큼 상품권 제도 도입 경위와 사후 관리 등의 적절성 여부를 조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태규 전종휘 기자 dokbul@hani.co.kr
검찰, 2002년 김용환씨 금품 로비설 규명위해
상품권 도입 때 주무국장…문화부 6~7명도 출금 성인 오락기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5일 유진룡(50) 전 문화관광부 차관이 2002년 상품권 발행업체인 안다미로 대표 김용환(48)씨한테서 금품 로비를 받았다는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4일 밤 유씨를 출국금지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유씨를 곧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경품용 상품권 도입에 관여한 문화부 공무원 6~7명도 함께 출국을 금지했다. 검찰은 경찰청 특수수사과가 지난해 1~7월 유씨의 관련 의혹을 내사한 기록을 지난달 30일 넘겨받아 검토하고 있다. 경찰은 김용환씨가 2002년 경품용 상품권 도입과 관련해 당시 이 업무를 총괄하는 문화산업국장이었던 유씨와 다른 공무원 등에게 1억원을 건넸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내사를 벌였다. 경찰은 김씨와 김씨 가족들의 계좌를 추적하다 ‘증거 불충분’ 등을 이유로 지난해 7월 내사를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경찰 수사팀 관계자는 “김용환씨가 유 전 차관에게 문화부의 상품권 관련 고시를 변경해 자신도 상품권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해달라는 명목으로 돈 로비를 했다는 제보를 받고 내사를 시작했으나, 혐의를 입증할 만한 단서가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검찰 관계자는 “내사 기록을 보면 계좌추적을 하다가 돈이 현금으로 빠져나가는 바람에 추적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유 전 차관은 당시 경품용 상품권을 도입할 때 중요한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어떻게 이런 정책이 나왔는지 다 밝히기 위해서라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유 전 차관은 “김용환씨가 누군지 모르고, 만난 적도 통화한 적도 없다”며 “경찰의 조사를 받은 사실도 없다”고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한편, 감사원도 유 전 차관을 직접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 관계자는 “유 전 차관이 경품용 상품권 제도가 도입될 당시 문화부의 주무국장이었던 만큼 상품권 제도 도입 경위와 사후 관리 등의 적절성 여부를 조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태규 전종휘 기자 dokbul@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