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철 기자
현장에서
<한겨레>는 지난 3일 원세훈 국정원장에게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도 적용하겠다는 검찰의 방침에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반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검찰청 고위 인사는 보도 직후 기자들과 만나 “5월27일 직후 (대검의 방안을) 법무부에 보고했다”고 말했다. 대검과 법무부에 보고할 때는 수사팀의 정리된 의견을 올린다. 설령 원세훈 전 원장 처리 방안을 두고 검찰 특별수사팀 내부에 이견이 있었다고 해도, 적어도 5월27일께는 수사팀 내부는 물론 대검까지 의견일치에 도달했다는 얘기다. 이후 의견차는 황교안 장관과 검찰 사이에만 존재했다.
그런데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한겨레> 보도 당일 ‘수사팀 내부 이견이 있다’고 말했다. 이후 조영곤 서울중앙지검장이 “수사팀 내 이견은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는데도, 이후 열흘 가까이 ‘수사팀이 의견일치를 못 봤다’는 얘기가 검찰 일각에서 계속 흘러나왔다. 황 장관의 교묘한 수사지휘로 생긴 문제가 수사팀 내 의견차 때문에 벌어진 일로 왜곡돼갔다. 이런 말을 퍼뜨린 검찰 인사들은 결국 법무부 장관을 지킨답시고 수사팀을 희생시킨 꼴이었다.
수사결과 발표도 금요일인 14일 이뤄졌다. 주요 사건은 금요일에 발표하지 않는 게 관례다. 주말을 거치면서 이슈가 잦아들기 때문이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도 수사 내내 “금요일에는 발표하지 않겠다”고 말해왔다. 검찰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돈 기업인 효성그룹 사건(2010년 7월16일), 한상률 전 국세청장 사건(2011년 4월15일),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저 터 헐값 매입 사건(2012년 6월8일) 등의 수사결과를 금요일에 발표했다. 모두 정권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하려는 의도였다.
설상가상으로 수사결과 발표가 예정된 14일 아침 <조선일보>가 ‘수사보고서’ 내용을 보도했다. 일부 내용이 최종 수사결과와 다른 중간 수사보고서를 바탕으로, “문재인·안철수 직접 비판은 각각 3건”이라며 사건의 의미를 축소하는 내용의 기사였다. 대검 관계자는 “수사보고서 문건이 통째로 흘러나간 건 10년 안에 처음 있는 일”이라며 혀를 찼다.
국정원 사건 수사를 둘러싼 여러 잡음은 이번 수사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검찰 일부 세력의 은밀한 움직임이 있었음을 의심케 한다. 채동욱 검찰총장은 이날 수사보고서 유출에 격노하며 감찰본부장에게 특별감찰을 지시했다. 검찰 안에서 ‘이간계’를 쓴 이들의 꼬리가 잡힐지 지켜볼 일이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4대강 떠드는 야당 강에 처박아야지…왜 가만 있나”
■ 새누리, 끝까지 원세훈 감싸고 국정조사도 거부
■ 장관님들은 청와대에서도 그러면서… 왜 우리한테만 이러세요?
■ [미공개 사진] 박근혜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그해 여름’
■ 여자들이 꼽은 남자들의 ‘여름 꼴불견 패션’ 1위는?
■ “4대강 떠드는 야당 강에 처박아야지…왜 가만 있나”
■ 새누리, 끝까지 원세훈 감싸고 국정조사도 거부
■ 장관님들은 청와대에서도 그러면서… 왜 우리한테만 이러세요?
■ [미공개 사진] 박근혜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그해 여름’
■ 여자들이 꼽은 남자들의 ‘여름 꼴불견 패션’ 1위는?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