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stem cell)라는 용어가 언제부터 널리 쓰였는지 궁금해 과학저널 <네이처>를 검색해 살펴본 적이 있다. 검색 결과로는, 줄기세포라는 말이 이 저널에 등장한 때는 1950년대 중반이었다. 물론 세부... 2014-03-16 18:35
연구물은 학술저널에 논문으로 발표되면서 비로소 지식의 공개시장에 나온다. 제대로 된 학술지일수록 논문은 발표 전에 엄격한 ‘동료 심사’를 받는 단계를 거친다. 연구 가치를 지니는지, 적절한 자료와 방법을 ... 2014-02-26 19:07
“과학 하는 삶이라는 것도 일상의 반복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죠. 엄청난 발견을 이룬다고 해서 날마다 엄청난 일이 일어나... 2014-02-25 19:25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 호아킨 푸스테르 지음, 김미선 옮김 휴먼사이언스·2만3000원 뇌의 한 부분이 손상되면 곧바... 2014-02-16 20:08
지구촌의 수학 지성들이 오는 8월 서울에 모인다. 저명하거나 무명이거나, 신진이거나 노장이거나, 선진국과 개도국의 수학자... 2014-02-10 19:42
다중이 참여하는 ‘크라우드소싱’ 방식의 취재가 국내 언론에서도 시도되고 있으며, 지난해엔 다중참여 저널리즘의 사례로서 추징금을 내지 않고 버티던 전두환 전 대통령의 숨은 재산을 찾아내는 데 큰 구실을 했... 2014-02-10 18:48
2004년 유럽우주국(ESA)이 발사한 혜성 탐사 우주선 로제타가 2011년 6월8일 에너지 소모를 최대로 줄이기 위해 동면 상태에 들어간 지 957일 만에 다시 깨어나 지난 20일(세계시 기준) 건재함을 알리는 신호를 ... 2014-01-22 19:09
정부출연연구소의 한 여자 과학자가 문턱 높기로 이름난 과학저널 <네이처>에 2012년 말 제1저자로 연구논문을 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세 아이의 엄마이기 때문이다. 얼마 뒤 인터뷰에서 그는 치열한 육... 2014-01-07 18:50
어른들의 세상사가 어수선하지만 여전히 아이들은 산타의 선물을 기다린다. 이맘때면 인터넷 공간에선 산타의 존재를 과학으로 푸는, 언뜻 웃음 자아내는 ‘산타의 과학’ 이야기가 간간이 화제가 되곤 한다. 북극... 2013-12-22 18:41
1994년 이탈리아 물리학자 체사레 마르케티(Marchetti)가 색다른 상수를 제시했다. 훗날 ‘마르케티 상수’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역사를 통틀어 사람들이 날마다 집과 일터를 오가는 데 쓰는 시간은 1시간 남짓으... 2013-12-03 19:11
지난 2월 지구촌을 놀라게 했던 ‘러시아 유성’에 대한 종합 분석 논문들이 나왔다. 2월15일 러시아 첼랴빈스크 도시 부근에 날아든 유성은 1908년 이래 가장 큰 것으로 기록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다. 아홉 달 만... 2013-11-13 19:20
지구 생물은 공통의 유전암호를 지니며 유전암호 사용법도 거의 같다. 이런 식이다. 네 염기(A, T, G, C)가 연쇄사슬을 이룬 디엔에이 염기정보는 아르엔에이 염기정보(A, U, G, C)로 복사되고, 이어 염기 3개가 ... 2013-10-29 19:02
‘우주는 어떻게 지금 이 모습일까?’ 우주 만물을 17개 기본입자와 그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는 입자물리학 표준모형에서 49년 동안 가설적 이론이던 힉스 메커니즘이 힉스 입자의 검출실험 성공으로 ‘마침내’ 노벨 ... 2013-10-13 19:09
‘과학은 심오한 우주 영상이나 신비한 뇌 영상 그런 게 아니다. 과학은 이론을 만들고 관찰·검증하고 다듬는 사람들의 집단 노력이다. 그래서 과학은 사람이며 과정이다.’ 그런 연구 현장의 토대를 이루는 20·30... 2013-09-24 19:06
“흥미로운 건 호랑이가 아주 강한 육식성을 갖고 있다는 게 유전자 차원에서 확인됐다는 겁니다. 오로지 고기만 먹는 습성이 ... 2013-09-18 0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