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10년 동안 업그레이드돼온 ‘상비약’책

등록 2006-12-07 14:54

삐뽀삐뽀 119 소아과
삐뽀삐뽀 119 소아과
베스트셀러 들여다보기 / 삐뽀삐뽀 119 소아과

어느 집이든 상비약이 있다. 다치고 물리고 쓰릴 때 급히 약상자를 찾는다. 책에도 상비약 같은 책이 있다. 가까이 놔두고 일이 생기면 바로 펼쳐드는 책이다. 도서출판 그린비에서 펴낸 <삐뽀삐뽀 119 소아과>가 꼭 그런 책이다. 이 책 없으면 아이 키우는 집이 아니라는 우스개말이 나돌 정도로 널리 읽히는 대한민국 가정의학 백과다.

소아과 의사 하정훈씨가 쓴 이 책은 1997년 1월에 처음 나왔으니 출간된 지 만 10년 된 책이다. 10년이면 웬만한 책은 절판돼 흔적도 찾기 어려운데, <삐뽀삐뽀 119 소아과>는 해가 갈수록 더 많은 독자가 찾고 있다. 초판은 1999년 말까지 3년 동안 2만5000부 가량이 팔렸다. 이듬해 지은이는 책 내용을 큰폭으로 바꾸고 새로운 정보를 대거 추가해 분량을 두 배 넘게 불려 새로 내놓았다. 개정판은 처음엔 한 해 2~3만부씩 나가다가 지난해부터는 한 해 5~6만부씩 나가고 있다. 개정 이후 지금까지 25만부가 팔렸다. 인터넷서점 알라딘에 서평을 올린 한 독자(아이디 수혁맘)가 “내가 친구로부터 추천받아서 샀고, 임신한 딴 친구에게 추천까지 해 준 책”이라고 한 대로 입소문을 타고 손에서 손으로 전해진 책이다.

<삐뽀삐뽀 119 소아과>가 사랑받는 이유는 먼저, 충실한 내용에 있다. 지은이는 책의 ‘판’을 바꾸거나 ‘쇄’를 더할 때마다 내용을 수정하고 보충하고 있다. 김현경 그린비 편집주간은 “개정판을 낸 뒤로 지금까지 일곱 번 판을 갈았는데, 그때마다 많게는 100쪽씩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고 낡은 정보를 바꿨다”고 밝혔다. “지은이가 워낙 의학 공부를 열심히 하기 때문에 새 정보가 끝없이 쌓인다”며 “이제까지 88쇄를 찍었는데 매번 조금씩 내용을 바꿨다”고 그는 덧붙였다.

지은이의 성실성은 친절하고 자상한 배려의 자세에서도 확인된다. 잘 놀고 잘 자던 아이가 갑자기 열이 오르고 울음을 그치지 않는다. 부모는 허둥대며 병원을 찾는다. 그럴 때 부모의 마음을 진정시키고 하나부터 열까지 차근차근 설명해주는 의사가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삐뽀삐뽀 119 소아과>의 지은이는 독자-부모에게 꼼꼼하고도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그런 의사다. 가령, ‘아이가 경련을 하면’이란 장을 보면, “열이 있을 때 하는 경련은 대개 별 문제가 없습니다”라고 운을 뗀 뒤, “절대로 엄마가 당황하면 안 됩니다”라고 주의를 주고, “열성경련은 대개 감기 같은 병에 걸려서 일어나는 것”이라며 “열성 경련은 대부분 별다른 문제 없이 좋아집니다”라고 설명해준다.

방대한 분량인 만큼 다루는 내용의 다양함과 풍부함도 이 책을 돋보이게 한다. 아이의 질병에 관한 의학적 정보뿐만 아니라 아이 방에서 가습기나 청정기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같은 가정 상식, 동생이 태어났을 때 당황해하는 아이를 대하는 법 같은 유아 심리까지 포괄하고 있다.

지은이가 이렇게 많은 정보를 다양하게 줄 수 있는 것은 경험과 공부가 그만큼 풍부하기 때문이다. 1990년대 중반에 지은이는 피시통신 하이텔에서 제일 먼저 육아 상담을 시작했고 독자들의 열띤 호응을 얻었다. 그때부터 10여년 동안 계속한 상담 내용이 쌓여 이 책의 토대를 이룬 것이다.

그린비는 인문서 출판사로 이름이 높다. 인문서 불황 중에도 ‘리라이팅 클래식’ 시리즈 같은 개성 있는 인문서를 펴내왔다. 특히, 학문적 가능성이 있는 젊은 인문학자들을 발굴해 그들의 집필에 몰두할 수 있도록 금전적으로 지원하고 있는데, <삐뽀삐뽀 119 소아과>와 같은 책이 없다면 엄두를 내기 어려운 일이다. 이 책이 아이를 둔 부모에게 뿐만 아니라 인문서 전문 출판사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다. 그린비는 <삐뽀삐뽀 119 소아과>과 함께 하정훈씨의 <삐뽀삐뽀 119 이유식>도 지난해 펴내 독자의 호응을 얻고 있다.


고명섭 기자 michae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