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세월호 선체 인양 뒤 미수습자 수습과 화물·유품의 처리 등을 위한 선체 거치 장소를 목포신항 철재부두로 정했다고 3일 밝혔다. 목포신항은 인양 현장과 약 100㎞ 떨어져 있어 5노트(9.26㎞/h) 속도로 이동할 경우 11시간이 걸린다. 해수부는 진도항·광양항·목포신항 등 7개 전남권 주요 항만 및 조선...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의 활동 기한을 보장해 달라는 요구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국민 세금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라고 한 데 대해, 세월호 참사 유가족 등이 “또다시 (특조위를) 세금 도둑으로 몰아가려는 것이냐”며 강하게 반발했다. 4·16가족협의회와 4·16연대 등은 27일 논평을...
2014년 세월호 참사 때 수색구조에 나섰다 다친 민간 잠수사들이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공의료기관인 서울특별시동부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1~2월부터 민간 잠수사 쪽과 얘기해왔고 지난 12일 박원순 서울시장이 직접 이분들을 만나 ‘끝까지 치료해주겠다’고 전했다. 현재 치료를 시작한 상태...
출범부터 진통을 겪었던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1년 남짓 동안 한시도 바람 잘 날이 없었다. 참사 진상 규명과 안전사회 건설, 피해자 지원이 조직의 목표였으나, 정부·여당의 발목잡기로 본연의 업무에 집중하기 어렵기도 했다. 지난 1년여의 특조위 활동을 돌아보고 앞날을 짚어봤다. ■ 발목잡은 여당과...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가 해양수산부와 일부 보수단체의 특조위 활동 방해 의혹에 대해 조사하기로 했다. 세월호 침몰 당시 ‘전원 구조’ 오보와 관련 있는 전 해양경찰청 대변인실 한아무개 팀장에 대해선 동행명령장을 발부하기로 했다. 세월호 특조위는 18일 서울 중구 특조위에서 30차 전원위원회를 열고 지난해 1...
세월호 참사 이후 여객선 안전운항 관리 업무를 한국해운조합으로부터 이관받은 선박안전기술공단에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기소된 운항관리자 26명이 지금도 근무 중이며, 이 가운데 17명은 징계도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공단은 이들의 안점점검 소홀 행위가 업무방해에 해당한다는 대법원 판결 이후에도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