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규석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 금속본부장(왼쪽)이 8일 오전 울산 남구 삼산동 지역본부 사무실에서 현대자동차 노사 갈등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어 노조에는 대국민 사과를, 회사쪽에는 미지급 성과급을 지급할 것을 촉구했다. 가운데는 하부영 지역본부장. 울산/연합뉴스
이례적 중재안…회사쪽에도 고소 취하 · 성과급 지급 등 촉구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이례적으로 산하 핵심 사업장인 현대자동차 노조에 시무식 폭력사태를 일으킨 데 대해 사과할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하며 노사 중재에 나서 결과가 주목된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8일 울산 남구 삼산동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사태의 원인을 떠나 시무식장에 분무기를 발사하고 기물을 부수는 등 물리적 행동을 한 것은 잘못됐다”며 “사태 해결을 위해 현대자동차 노조는 국민한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또 “회사는 원인 제공자로서 노조를 상대로 제기한 고소고발과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취하하고 미지급 성과급 50%를 지급하라”고 요구했다.
울산본부는 “현대자동차 사태를 이대로 방치하면 노사는 함께 죽음으로 이르는 길을 갈 수밖에 없으며, 고객들의 불매운동이 일어나 현대자동차가 망하는 길로 접어든다”며 “노사는 즉각 교섭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제시한 중재안은 노사의 양보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으나 과거 현대자동차 노조가 특정 사안으로 첨예하게 맞설 때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연대파업 등 지지투쟁을 벌였던 점을 고려하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민주노총의 이번 회견은 현대차 노조에 사과를 요구하는 간접방식을 취했지만 폭력을 행사한 노조의 잘못을 일정 부분 인정하고 현대차 노사 갈등을 중재할 뜻을 비쳐 현대차 문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앞서 회사 쪽은 이날 오전 10시30분 울산지법에 박유기 노조위원장 등 노조간부 26명을 상대로 잔업과 특근을 거부한 책임 등을 물어 사상 최대 규모인 1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한편, 노조는 이날 오후 확대운영위원회를 열어 10일 서울 양재동 본사 상경시위, 노조 간부 천막농성 돌입 등을 결정했으나 관심을 끌었던 파업 돌입 여부는 12일 임시 대의원대회로 미루고 성과급 문제와 관련해 보충교섭을 회사 쪽에 요구하기로 하는 등 회사 쪽과의 협상 여지를 남겼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앞서 회사 쪽은 이날 오전 10시30분 울산지법에 박유기 노조위원장 등 노조간부 26명을 상대로 잔업과 특근을 거부한 책임 등을 물어 사상 최대 규모인 1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한편, 노조는 이날 오후 확대운영위원회를 열어 10일 서울 양재동 본사 상경시위, 노조 간부 천막농성 돌입 등을 결정했으나 관심을 끌었던 파업 돌입 여부는 12일 임시 대의원대회로 미루고 성과급 문제와 관련해 보충교섭을 회사 쪽에 요구하기로 하는 등 회사 쪽과의 협상 여지를 남겼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