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기·살수차 동원 강제해산…시내 곳곳 충돌
[%%TAGSTORY1%%]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저지와 비정규직 철폐, 반전·평화를 요구하는 ‘2007 범국민 행동의 날 민중 총궐기 대회’가 11일 오후 3시께 서울시청 앞 태평로 일대에서 민주노총 조합원과 농민·빈민·시민단체 회원, 민주노동당원 등 2만여명(경찰 추산)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집회를 금지한 경찰은 헬리콥터와 살수차를 동원해 시위대를 강제로 해산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 12명이 부상을 입었고, 시위대 10여명이 경찰의 방패에 맞아 의식을 잃거나 머리를 찢기는 등 크게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다.
주최 쪽은 서울시청 앞에서 남대문에 이르는 왕복 차로를 모두 점거하고 경찰과 대치 속에 집회를 강행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국회 비준 저지 △비정규직법 전면 재개정 △금융공공성 강화 및 투기자본 규제 △자이툰부대 철수 △노점탄압 중단 △청년실업 해소 등을 요구했다. 권영길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는 “노무현 정권의 신자유주의 정책이 농민·노점상·노동자들의 목숨을 앗아갔다”며 “새로운 투쟁의 장을 선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고 말했다.
태평로 집회 뒤 시위대는 세종로 주한 미국대사관까지 거리행진을 시도하다가 경찰과 충돌했다. 시위대는 저녁 7시께부터 태평로에서 촛불 문화제를 연 뒤 8시께 자진 해산했다.
경찰은 이날 시청앞 서울광장 주변에만 전경 2만4천여명을 배치하는 등 전국적으로 6만4천여명의 경찰을 동원해 집회 봉쇄에 나섰다. 이날 지방에서 올라오려던 농민과 노동자 등은 경찰에 막혀 상당수가 상경을 포기했다. 서울에서 민주노총 조합원과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소속 대학생 등 125명, 전국적으로는 141명이 경찰에 연행됐다.
경찰의 집회 원천 봉쇄와 강경 진압에 대해 민주노총은 “1988년부터 열린 전국노동자대회가 불허된 것은 노태우 정부 시절 두 차례를 제외하고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노무현 정부가 끝내 노동자·농민을 ‘적’으로 돌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순혁 황예랑 기자
hyu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