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부터 도입되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근현대사 비중이 줄어들 전망이다. 세계적인 추세나 교육 현장의 요구와 동떨어진 방향이라 반발이 예상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역사 교육과정 연구팀은 12일 오후 서울 연세대에서 토론회를 열어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을 공개했다. 중학교 역사, 고등학...
교육부가 지방교육재정을 아낀다며 ‘학교 통폐합’을 재촉하고 있는 가운데(▷ [단독] ‘작은 학교’ 문닫게 하면 좋은 점수 준다는 교육부), 역으로 분교에서 본교로 승격한 작은 학교들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통폐합 학교가 한해 평균 50개인 데 견줘 본교 승격은 2곳도 채 안 되지만 인구가 급감하는 농어촌에도 학교...
전국 초·중·고교 인조잔디 운동장의 유해성이 확인됐는데도, 교육당국이 예산을 이유로 개보수 공사를 미적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진후 정의당 의원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인조잔디 운동장을 개보수할 초·중·고교가 169곳(4월 현재)이라고 8일 밝혔다. 경기 39곳, ...
비영리 국제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HRW)가 3일 한국 정부에 청원서를 보내, 성소수자 교육을 가로막은 교육부의 ‘학교 성교육 표준안’을 수정하라고 촉구했다. 교육부의 성교육 표준안은 지난 3월30일 <한겨레> 보도 이후 성소수자 차별 등 논란이 일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청원서에서 “교육부가 연초 발표...
교육부가 인센티브와 직결되는 시·도교육청 재정 평가에 학교 통폐합을 주요 지표로 활용하기로 해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연초 박근혜 대통령과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주문한 지방교육재정 효율화의 일환인데 교육부가 경제 논리를 앞세워 인성교육과 농어촌 살리기 효과가 탁월한 ‘작은 학교’를 없애려 한다는 지적...
경기교육청, 2012년 “합의제 행정기관” 초정권적이고 초당적인 교육 관련 사회적 합의 기구가 논의돼온 과정을 살펴보면 몇가지 특징이 엿보인다. 우선 정권교체 이후 ‘교육개혁’을 빌미로 ‘졸속 개정’의 바람이 불어닥칠 때, 교육계의 저항과 함께 사회적 합의 기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진보 정부 때 보수 진...
광복 이후 70년 동안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교육개혁을 명분으로 무수한 정책들이 쏟아졌다. 하지만 교육 논리보다 정치·경제 논리와 행정 편의주의가 앞섰던 ‘위로부터의 교육개혁’은 성공한 적이 별로 없다. 그 결과는 교육을 둘러싼 이념갈등과 국민의 불신으로 이어졌다. <한겨레>가 광복 70돌을 맞아 실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