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간 만남의 횟수가 잦았지고 급도 올라갔지만, 내용적으로는 아직 진전이 없는 상태.’ 정부 관계자들 및 외교 전문가들은 현재 한-일 관계를 한마디로 이렇게 평가했다. 윤병세 외교장관과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25일(현지시각) 뉴욕 유엔본부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열어 일본군 위안부 문제...
박근혜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할 때 리수용 북한 외무상 등 북한 대표단 3명은 단상 바로 앞에서 이를 지켜봤다. 북한 대표단은 추첨 방식으로 맨 앞줄의 정중앙에 자리가 배정됐는데, 단상과는 5m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다. 카메라에 잡힌 북한 대표단은 경청하면서도 약간...
학급회의를 앞두고 반장이 몇몇 친한 친구를 따로 복도로 불러 급우 홍길동의 행실에 대해 얘기를 좀 하자고 했다. 여러 이유로 이 반에서 ‘왕따’가 된 길동은 어디선가 소식을 듣고 자기도 끼워달라고 했다. ‘반장과 친구들’은 “네가 이 자리에 오는 건 부적절해 보인다”며 거절했다. 반장 친구 한명이 길동의 ‘복도 회...
국민적 불신이 해소되지 않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개 여부를 놓고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와 여권 일각에서는 수입 재개가 필요하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정부 소식통은 22일 “원칙적으론 (금지 조처를) 풀어야 한다.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면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단계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출범 이래 강경 일변도로 치달았던 박근혜 정부의 대일본 외교 기조가 다소 누그러지려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부상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한-일 관계 진전을 요구하고 있는 미국의 입장이나, 중-일 간 정상회담 가능성 등을 의식한 움직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우선, ‘대일 강경파’로 분류되던 윤병세 ...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6일(현지시각) 미국이 주도하는 ‘이슬람국가’(IS) 격퇴 작전과 관련해 우리 정부가 군사적 지원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 실장은 이날 워싱턴 국무부 청사에서 윌리엄 번즈 미 국무부 부장관과 면담한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의 지원 범위와 관...
정부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이슬람국가’(IS) 격퇴 대책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11일 공식 지지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라크 북부 지역 등에 대한 추가 인도적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미국의 공습 등에 대한 파병 등은 “요청이 없었다”며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다만 현지 전투가 격화되는 ...
일본 내각부 소속의 납치문제담당 정부 당국자는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가 있다고 해서 (북-일간) 협상 자체를 중단시킨다거나 그런 것까지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 당국자는 지난 26일 한-일 기자단 교류 차원에서 일본을 방문한 한국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과의 한-중 정상회담에서 미사일 방어(MD) 체계에 대해 직접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26일 “지난달 7월3~4일 서울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주석이 박 대통령에게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미사일 방어체계는 중국의 안보 이익에...
일제시대 사할린 지역에 강제동원됐던 희생자 유골 18위가 28일 국내 봉환된다.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위원장 박인환)는 25일 러시아 정부와 협의를 통해 유골 18위가 봉환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봉환되는 유골 18위는 26일부터 이틀 동안 사...
‘금강산 관광은 유엔제재 대상이 아니다’라는 미국 고위 당국자의 발언(<한겨레> 8월22치 8면)과 관련해 정부는 22일 “유엔 제재위원회의 유권해석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공식 브리핑에서 ‘미 고위 당국자 발언’에 대해 설명하면서 “관광객 신변안전 문제를...
무라야마 도미이치(90) 일본 전 총리는 22일 “(일본의 패전 50주년을 맞아 일본의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한공식사죄를 담아 발표한) ‘무라야마 담화’는 일본의 국제공약이기 때문에, 이를 지킬 수 없다면 총리직에 머무를 수 없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 정권의 ‘역사 우경화’ 행보에 대한 강한 비판이다. 그는 일본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