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25일 우리나라 최초로 쏘아올렸던 위성발사체 나로호(KSLV-1)의 발사가 실패한 것은 전기적 또는 기계적 결함으로... 2010-02-08 19:20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8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2월 수상자로 정경민(위) 삼성에스디아이 수석연구원... 2010-02-08 18:32
2020년의 과학과 사회를 내다보며 각 분야 전문가 10명이 저마다 다른 열 가지 시선을 전한다. 김진수 교수는 유전체공학이... 2010-02-08 17:57
새로운 밀레니엄이 시작된 지 벌써 10년이 지났다. 세계사의 시야에서 봤을 때 나는 지난 10년 동안 과학에서 나타난 가장 ... 2010-02-08 17:46
‘뇌는 곧 마음’이라는 단순 이해 넘어서기 로봇공학 분야에서 먼저 제기돼 인문사회학, 인공지능, 광고 등에도 영향 끼칠 ... 2010-02-08 17:35
관찰은 모든 서사(이야기)의 자양분이다. 과학에서도 이야기는 생성되고, 그런 과학 서사는 특히 구체적 관찰 자료... 2010-02-08 17:31
지난 10년의 과학기술을 돌이켜볼 때 떠오르는 열쇳말 가운데 하나는 단연 ‘나노’라고 말할 수 있다. 2000년 1월 미국 클린... 2010-02-08 17:28
“10년의 가장 큰 변화, 생명과학에서 나올 것”유전체공학·줄기세포·미생물합성·뇌·에너지 분야 진전컴퓨터·우주 연구 등도 ... 2010-02-08 17:23
우주를 누비는 첨단의 관측위성들 덕분에우리는 전례없는 정밀도로 우주를 바라본다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정체 규명은 중요... 2010-02-08 17:25
유전체 해독 시간·비용 절감 가속화뇌 활동 실시간 측정기법 등장 새로운 사회문제·윤리규범 논란도 이어질 것 한겨레 과... 2010-02-08 17:23
다른 길로 달려왔던 과학 분야들이 어울려 제3의 연구성과를 만들어내는 ‘융합·복합 연구’는 지금도 과학계에서 가장 자주 쓰... 2010-02-08 17:20
21세기 두 번째 10년의 과학기술정책은 무엇을 목표로 어떤 모습으로 펼쳐질까? 지난 10년 동안 과학기술정책의 관심은 지식... 2010-02-08 17:19
과학 지식을 생산하고 유통·소비하는 과학문화는 우리 사회의 미래에 어떻게 달라질까? 과학자와 대중의 소통 방식은 달라질... 2010-02-08 17:18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2007년 발표한 제4차 평가보고서에서, 화석연료에 의존한 대량소비형의 사회가 지속... 2010-02-08 17:14
그동안 과학과 인문학의 간극, 이과와 문과의 간극이 빚어내는 ‘두 문화’의 문제가 자주 지적됐다. 두 문화의 간극을 좁혀야... 2010-02-08 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