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의 ‘후순위채권 불완전 판매 신고센터’를 오는 20일부터 두달여 동안 운영하기로 했다. 13일 금감원은 본원과 부산·대구·대전·광주 4개 지원에 저축은행 후순위채권 피해 구제를 위한 신고센터를 만들어 이달 20일부터 8월31일까지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후순위채권은 발행기관...
프라임저축은행에 대한 검찰 수사로 시작된 ‘뱅크런’(대량 예금인출)이 사흘 만에 1100억원을 넘어섰다.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쪽은 예금 인출 규모가 날마다 줄어들고 있어 주말을 넘기면서 뱅크런이 잦아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프라임저축은행은 10일 “오후 5시 영업 마감 결과 서울 5개 점포와 인터넷뱅킹을 통...
소액 금융분쟁에서 금융회사가 분쟁 조정 절차없이 곧바로 소송을 내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 제정이 검토되고 있다. 9일 금융위원회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이른바 ‘금융소비자보호법 제정안’ 입법 예고를 위해 관계 부처와 협의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법 제정안에는 일정 금액 이하의 소액 금융분쟁 사례에서...
정부가 공적자금으로 사들인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채권에 대한 보유 만기를 3년에서 5년으로 늘리는 방안이 추진된다. 금융위원회는 8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사들인 저축은행 부실 채권은 3년 뒤 저축은행이 다시 되사가도록 하는 한시적 조건이 붙어 있다”며 “이 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늘리...
농협·수협·신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회사의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을 최대 10배까지 높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현재 3000만원인 비과세 예금의 한도를 2000만원으로 낮추는 방안도 검토된다. 금융감독원은 6일 상호금융회사의 대출 가운데 건전성 분류기준에 따른 ‘정상’과 ‘요주의’ 여신의 대손충당금 최소 적립비...
부산저축은행 5개 계열사에 5000만원을 넘게 맡긴 개인 예금자들은 한 사람당 400만원 안팎의 손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원회는 5일 부산저축은행 5개 계열사 예금자 가운데 순예금이 5000만원을 넘는 이들은 2만7196명으로, 전체 예금자의 6.5%라고 밝혔다. 여기서 법인 예금자 172명을 뺀 개인 예금자는 2...
대형 투자은행을 육성하기 위해 증권사 내 업무영역간 차단막인 ‘차이니즈 월’(정보교환 차단벽) 규제가 대폭 풀리고 헤지펀드에 대한 종합적인 자금대출과 결제(프라임브로커) 업무가 허용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자본시장 제도개선 민관합동위원회 제4차 회의를 열고 ‘국내 투자은행 ...
입찰자가 2곳 이상 몰리지 않은 부산저축은행 등 4개 저축은행이 공개경쟁 입찰에 실패해 재매각 절차를 밟게 됐다. 31일 예금보험공사는 7개 저축은행 매각을 위한 인수의향서(LOI)를 접수한 결과 입찰자가 너무 적거나 없었던 ‘부산+전주’ 저축은행 패키지와 ‘대전+보해’ 저축은행 패키지에 대해 분리 매각 절차를 ...
부실 금융기관으로 영업정지된 7개 저축은행 인수전에 케이비(KB)금융지주 등 주요 지주회사들이 뛰어들었다. 30일 예금보험공사가 부산저축은행 등 7개 저축은행 패키지 매각을 위한 인수의향서(LOI) 접수를 마감한 결과, 케이비금융과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키움증권 등 모두 6곳이 7개 인수의향서를 제출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