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시민·사회·소비자단체와 농민들이 4대강 사업으로 사라질 위기에 내몰린 삼락둔치 친환경 농경지를 지키기 위해 뭉쳤다. 낙동강지키기 부산시민운동본부, 부산농민회, 안전한 학교급식을 위한 부산시민운동본부 등은 10일 부산시의회 2층 중회의실에서 ‘친환경도시농업 활성화와 삼락둔치 보전을 위한 워크숍’...
국토해양부가 지난 6월 4대강 사업 낙동강 구간 1~4공구의 준설량을 대폭 줄이겠다고 한 뒤, 부산시가 절감되는 준설토 공사비 400억원을 멸종위기 조류 등이 서식하는 낙동강 둔치를 개발하는 사업에 쓰려고 해 환경단체 등의 비판을 사고 있다. 부산시는 9일 “지난달 말 서울의 ㅇ사와 부산의 ㅅ사에 낙동강 둔치 ...
부산의 학교법인 배정학원이 교사 공개채용 시험에 응시한 수험생한테서 돈을 받고 시험지와 답안지를 건네고 공금을 횡령하는 등 갖가지 비리를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시교육청은 5일 “배정학원이 운영하고 있는 중·고교 3곳을 대상으로 6월24일~7월16일 특별감사를 벌여 비리에 연루된 것으로 드러난 전...
부산시와 국립수산과학원이 어민 소득 증대를 이유로 4대강 사업이 한창인 낙동강 하류에 잉어 치어(새끼) 10만 마리를 방류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5일 “지난달 30일 북구 덕천동 앞 낙동강 하류에 잉어 치어 10만 마리를 방류했다”고 밝혔다. 이날 방류한 잉어 치어들은 국립수산과학...
부산시가 낙동강 하구의 막개발을 견제하고 보존하기 위해 만든 조례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는 2일 “2001년 6월 낙동강 하구 보전·관리 조례 제정에 따라 발족한 낙동강 하구 관리협의회 회의가 2007년 2월 열린 뒤 지금까지 3년6개월째 열리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낙동강 하구 보전·관리 ...
부산시 특별사법경찰(특사경) 광역전담반은 맹독성 폐수를 하수관을 통해 몰래 버린 혐의(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위반)로 부산 사상공단의 폐수처리업체 2곳의 임직원 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30일 밝혔다. ㄱ폐수처리업체는 지난 5월17일 저녁 8시40분께 50여개의 공장에서 발생한 폐수를 t당 10만원가...
검찰의 수사를 받던 윤종대(62) 스포원(옛 부산경륜공단) 전 이사장이 검찰의 수사에 불만을 적은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검찰과 경찰, 병원 등의 말을 종합하면, 윤 전 이사장은 지난 26일 경남 함안군의 선영 안 부친의 묘소 앞에서 자신의 동생한테 휴대전화로 “선영을...
부산의 시민사회단체와 천주교, 대학생들이 4대강 사업 중단을 요구하며 경남 함안보의 30여m 크레인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는 환경단체 간부들을 지원하기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부산환경운동연합·습지와 새들의 친구·부산참여자치연대 등으로 꾸려진 운하반대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와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
울산에 본사를 둔 일간지가 벌인 여론조사와 관련해 금품을 건넨 혐의로 기소된 울산의 현직 구청장 2명에게 당선무효형이 선고되는 등 8명 모두에게 항소심에서도 1심과 마찬가지로 유죄가 선고됐다. 부산고법 형사2부(재판장 김용빈)는 28일 조용수 중구청장, 정천석 동구청장, 강석구 전 북구청장, 김기환·천명수 ...
임혜경 부산시교육감이 초등학교 전면 무상급식 시행에 시동을 걸었다. 보수 성향의 임 교육감이 내년부터 무상급식을 부분적으로라도 시행하게 된다면 보수 성향의 교육감이 당선된 다른 시·도교육청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결과가 주목된다. 부산시교육청은 27일 “6·2 지방선거에서 2012년까...
지난 1일부터 해가 진 뒤에도 집회가 허용된 가운데 경찰이 야간집회를 주최한 시민단체 대표를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적용해 처음으로 수사하고 나섰다. 부산 부산진경찰서는 22일 “낙동강지키기 부산시민운동본부 최수영 공동집행위원장한테 30일 오후 2시까지 경찰에 나와 달라는 출석요구서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