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26일치 <한겨레> 토요판에 재밌는 글이 실렸다. 한동원 영화평론가는 칼럼 ‘어린이들도 사회를 알 나이?’에서 이렇게 썼다. <주토피아>를 보는 “어린이 관객들은 이 영화가 전하고자 하는... 2016-04-04 19:32
서양에서 인문정신을 가리키는 말들의 어원은 라틴어 ‘후마니타스’로 소급된다. 그것은 로마의 철학자 키케로가 만든 말이다.... 2016-03-31 19:28
총선이 2주 남았는데, 야권은 계속해서 치킨게임을 벌이고 있다. 문제는 누구도 이 치킨게임을 어떻게 끝내야 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야권, 정확히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의 전략은 ‘올디(all-defect) 전략’... 2016-03-31 19:26
“죽음은 삶의 사건이 아니다. 사람은 죽음을 체험할 수 없다.” 20세기의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이 한 말입니다. 우리는 죽음에 관한 그의 명제가 사실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살아 있는 사람이 죽음을 체험할 수 없... 2016-03-31 19:26
<한겨레>는 지난 3월9일 ‘덮어놓고 식민사학, 사료 놓고 따져보자’라는 장문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이 기사는 <역사비평> 봄호의 내용 중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 역사학 비판’이라는 기획편에 게재된... 2016-03-31 19:24
1977년 11월11일, 밤 9시15분, 다이너마이트 22톤 등 30톤의 폭발물을 싣고 전라북도 이리역 구내에 정차해 있던 열차 안에서... 2016-03-28 19:43
지난해 2월27일 마지막 사법시험 1차 시험이 시행되었으나, 법무부의 뒤늦은 사시 폐지 유예 발표로 ‘사시 존치’ 문제가 국민... 2016-03-28 19:43
새 학기가 시작된 지 한 달이 지나고 있지만 아직도 두꺼운 외투를 벗지 못한 것을 보면 작년의 여운이 남는다. 지난 한 해 동안 교실에서 수업을 바꾸어보려고 노력했다. 그중에서도 모둠이 협력하는 활동은 삶... 2016-03-28 19:41
장애인 인권 교육에서는 대개 ‘용어’에 대한 교육을 먼저 한다. 장애인의 반대말은 ‘일반인’, ‘정상인’이 아니라 ‘비장애인’이라든지, ‘장애우’라는 말은 잘못된 용어라든지 하는 것들이다. ‘장애우’라는 표현을 ... 2016-03-28 19:41
새 학기가 시작되고 아이들이 부산하다. 학급 임원을 선출하면 맨 먼저 하는 일이 학급회를 열어 ‘반티’를 선정하는 일이다. 반티는 대개 체육대회 때 입는 학급별 단체복을 말한다. 겉으로는 학급별로 단체복을 ... 2016-03-28 19:41
발트 3국 중 국토가 가장 작은 에스토니아는 역사를 통해 덴마크, 스웨덴, 독일, 러시아 등 주변 강국에 점령당하거나 지배를... 2016-03-23 19:16
대학은 지금 어떤 형편일까? ‘지성의 산실’은 박물관 용어가 되었다. 대학은 영혼을 반납해버린 채 기업이 당장 써먹을 수 있... 2016-03-23 19:15
서울 지하철 약수역에서 성곽길에 이르는 다산동 수천 가구는 성곽과 함께 살아간다. 조용하고 편리하여 살기 좋은 다산동 일대는 2~3세대에 걸쳐 수십년째 살고 있는 토박이들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건물들의 ... 2016-03-23 19:11
병원 진료비 중에는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있다. 건강보험에서 보장하는 의료행위라도 관련 비용의 일부를 부담해야 하고, 건강보험 급여범위에서 벗어난 비급여의 경우에는 환자가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 2016-03-23 19:10
‘결합상품’이란 유선전화, 이동통신, 초고속인터넷, 인터넷전화, 유료방송 등 복수의 방송통신 상품을 결합하여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초고속인터넷+유료방송’, ‘초고속인터넷+유료방송+인터넷전화’, ‘초고속인... 2016-03-23 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