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저' 발언으로 키가 사회적 문제로 부상한 가운데 아이들의 성장을 방해하는 원인이 남녀별로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장전문 하이키한의원(대표원장 박승만) 의료진은 2007년 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키 성장 치료를 위해 방문한 만 8~15세 564명(남 125명, 여 4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남아의 ...
사람의 눈동자나 머리카락,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것은 ‘멜라닌’이라는 흑갈색 색소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차단해 피부를 보호하는데, 이를 만드는 세포가 많은 인종일수록 눈동자와 머리카락 색깔이 검고 피부색도 짙다. 백인종보다는 황인종이, 황인종보다는 흑인종이 멜라닌 세포가 많은 것. 멜라닌 색소는 ...
보통 쥐는 천적이 없는 사육환경에서 최대 90%가 암으로 죽는다. 사람의 사망원인 23%도 암이다. 그런데 아프리카 굴에 사는 몸무게 35kg의 설치류, 벌거숭이두더지쥐(naked mole-rat)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 로체스터대 생물학과 베라 고부노바 교수팀은 벌거숭이두더지귀의 세포가 접촉...
각국이 기후변화 회의를 열어 탄소배출 감축량을 정하고 학계와 기업도 기후변화를 극복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찾고 있다. CNN이 지구를 구하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소개했다. ‘클라우드 화이트닝’(cloud whitening)는 구름을 더 하얗게 만들면 지구에 내리쬐는 태양 빛을 더 많이 반사시킬 수 있다는 생각이다. 항해...
기존의 반도체 소자 제조방식을 대체할 새로운 초저전력 나노집적소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총장 서남표) 전기 및 전자공학과 윤준보 교수팀과 나노종합팹센터(소장 이희철)는 공동연구를 통해 최근 초저가, 초저전력, 초저탄소 CPU(중앙처리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20㎚갭 기계식 나노집적소자'...
초저가에다 초저전력, 초저탄소의 '3저(低) 중앙처리장치(CPU)'를 실현할 나노집적소자 원천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6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KAIST 전기ㆍ전자공학과 윤준보 교수팀과 나노종합팹센터(소장 이희철)는 공동연구를 통해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누...
이탈리아 피렌체의 과학사박물관이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사라진 손가락 2개와 치아 1개를 100여년 찾아냈다. 외신에 따르면 1737년 갈릴레오의 유골을 피렌체 산타크로체 성당으로 옮길 때 추종자들이 그의 신체 일부를 떼어냈다. 손가락 3개, 척추뼈 1개, 치아 1개가 사라졌는데 그 중 손가락 1개만 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