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인 중국 건설업체가 손을 떼는 바람에,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앞에 아파트 겸 호텔을 짓는 해운대 관광리조트 사업이 성패의 갈림길에 서게 됐다. 시행사 쪽은 국내 유명 건설회사와 시공계약을 맺고 분양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으나, 이 역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해운대 관광리조트 시행사인 엘시...
부산지역 일부 국회의원이 시민 생명과 직결된 고리원전 1호기 폐쇄에 대한 의견을 묻는 시민단체에 답변을 하지 않아 눈총을 받고 있다. 부산 시민사회단체 120여곳이 참여하고 있는 고리 1호기 폐쇄 부산범시민운동본부는 2일 “지난달 27일 부산의 지역구 국회의원 18명한테 고리원전 1호기 폐쇄와 관련한 4개 문항...
부산 기장군의 고등학교 무상급식이 새누리당 소속 군의원들의 반대로 좌절됐다. 부산 기장군의회는 2일 임시회 본의회를 열어 기장군이 요청한 고교 무상급식비 20억원의 추가경정예산안을 부결했다. 표결에 앞서 이현만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5분 발언을 통해 “학부모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고리원전을 이고 사는...
부산시가 침체한 지역경제의 활로를 찾기 위해 새로운 경제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나섰다. 부산시는 1일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유경제 기반 조성, 공유경제 주요 사업 발굴 및 지원, 공유경제 소통 확산 등 세가지 분야별 세부 추진계획을 마련해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세부...
부산 기장군 주민과 학부모들이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고등학교 무상급식 예산을 전액 삭감한 기장군의회를 압박하고 나섰다. 부산 16개 구·군 가운데 유일하게 중학교 전면 무상급식을 하고 있는 기장군의 초·중·고등학교 29곳 학교운영위원장과 학부모회장, 사회단체 대표 등으로 꾸려진 ‘기장군 고교 무상급식 추진...
지난해 2월 경북 경주시 마우나오션리조트에서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도중 건물 지붕 붕괴사고로 목숨을 잃은 부산외국어대생 9명의 추모비가 부산외대 교정에 세워진다. 부산외대는 31일 오전 11시 부산 금정구 부산외대 남산동캠퍼스 도서관 근처에서 추모비 제막식을 연다. 추모비는 고 강혜승씨(아랍어과) 등 희생...
부산의 시민단체들이 올해 2학기부터 중학교 1학년 의무급식(무상급식)을 시행하라고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에 촉구했다. ‘부산을 바꾸는 시민의 힘 민들레’와 부산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는 26일 부산시청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은 올해 6월 추가경정예산에 ...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에서 반지름 30㎞까지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확대를 촉구하는 만민공동회가 부산에서 열렸다.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되면 원전 사고가 났을 때 주민들이 대피할 공간과 방호약품, 보호복 등을 준비해야 한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 고리원...
부산의 <한겨레> 주주·독자들이 구독운동에 나섰다. 한겨레 주주·독자 70여명은 지난 25일 저녁 부산 동구 초량동 부산와이엠시에이(YMCA) 회의실에서 ‘한겨레 부산 주주·독자클럽’을 창립했다. 창립식엔 1987년 6월항쟁의 불씨가 됐던 박종철 열사의 아버지 박정기씨, 배다지 민족광장 상임대표, 김동수 전 ...
부산에서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돕는 특별학급이 늘어나고 있다. 부산시교육청은 25일 “외국에 살다 들어온 초등학생,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 등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생을 돕는 특수학급을 이달 들어 초등학교 4곳에 한 학급씩 새로 설치했다”고 밝혔다. 신설된 ...
새정치민주연합 부산·울산시당과 경남도당이 원전 사고 때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방호훈련 등을 해야 하는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고리원전으로부터 반지름 30㎞까지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춘 부산시당 위원장, 이상헌 울산시당 위원장, 김경수 경남도당 위원장은 23일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
3살 미만의 어린아이들도 스마트폰에 마구 노출되고 있으며 엄마의 육아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시기가 빨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류미향 동아대 아동가족학과 교수가 지난해 5월 한국영유아보육학 86집에 발표한 논문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 및 어머니 인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