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가 올해 10월 문을 여는 국립 부산과학관을 산하기관에 넣고, 설립위원회 위원을 부산시보다 많이 추천하겠다고 밝혀 부산지역 과학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부산시는 18일 “미래창조과학부가 최근 국립 부산과학관 설립위원회 위원 9명 가운데 정부 5명, 부산시 4명씩 추천하는 최종안을 제시했다”고 ...
부산시교육청이 고강도 청렴방안을 내놨다. 부산시교육청은 ‘2015년도 청렴도 향상 종합계획’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간다고 17일 밝혔다. 부산시교육청의 계획을 보면, 청렴도 향상에 기여한 학교장과 직원에겐 성과보수(인센티브)를 준다. 학교장 순위를 매겨 상위 10% 학교장에겐 직무성과 평가 때 가점을 주고, 하...
교육이념 차이로 갈등을 빚던 보수 성향의 부산광역시교원단체총연합회(부산교총)와 진보 성향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부산지부가 정부 재정지원 확대 등 교육 현안 해결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두 단체는 16일 부산시교육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 교육 발전을 위해 사안에 따라 힘을 합쳐 해결하...
학교환경위생정화위원회의 제동으로 무산될 처지인 부산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사업이 갈림길에 섰다. 학교 앞에 호텔이 들어서는 것을 허용하는 법률 개정안이 다음달 국회를 통과하면 연내 착공이 가능하지만, 통과하지 못하면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3일 김영...
30년 설계수명이 끝난 뒤 한차례 가동 연장한 고리원전 1호기의 수명 재연장을 막으려는 시민대회가 열린다. 고리원전 1호기 폐쇄 부산범시민운동본부는 4일 “고리원전 1호기 폐쇄를 위한 범시민대회를 7일 오후 2시 부산 동구 초량동 부산역광장에서 연다”고 밝혔다. 범시민대회 참가자들은 2017년 수명 연장이 끝...
부산시가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공공청사 주차장을 완전 유료로 전환하고, 직원 주차요금도 올리기로 했다. 그러나 공공기관 직원들의 반발과 실효성 논란 때문에 실행에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부산시는 4일 “현재 42%인 부산시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2020년 60%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의 하나로 오는 7월부...
수명을 다한 원전의 연장 가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구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본사를 부산 등 원전 가동 중인 지역으로 옮기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부산시는 3일 “원안위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도록 부산발전연구원에 연구용역을 맡겼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연구용역 결...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경주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 연장을 결정하면서, 2017년 1차 수명 연장(10년) 기간이 끝나는 부산 고리원전 1호기의 수명 재연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월성 1호기의 연장 가동 결정이 고리 1호기의 수명 재연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예정대로 재연장 ...
부산에서 30년 설계수명이 끝난 뒤 10년 더 연장 가동하고 있는 고리원전 1호기의 폐쇄를 촉구하는 운동이 종교계로까지 퍼지고 있다. 부산와이엠시에이, 부산와이더블유시에이, 부산엔시시(기독교교회협의회), 기독교대한감리회 선교국, 한국기독교장로회 생태공동체운동본부, 핵없는 세상을 위한 부산기독시민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