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브릭스(BRICs) 국가로는 처음으로 인도와 자유무역협정(FTA) 격인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에 정식 서명, 12억 인구의 인도 거대 시장이 열리게 됐다. 한.인도 CEPA가 발효될 경우 한국이 인도에 수출하는 품목 및 수입액 가운데 85%의 관세가, 인도로부터의 수입은 품목 수 기준 93%, 수입액 기준으로 ...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다음달 9일 방한한다. 정부 소식통은 26일 “반기문 총장이 휴가를 겸해 다음달 9일부터 열흘 동안 한국에 머문다”며 “이번 방문은 비공식 일정”이라고 말했다. 2007년 1월 유엔 사무총장에 취임한 반 총장은 지난해 7월 공식 방한한 바 있다. 반 총장은 다음달 방한 때 서울에서 열리는 유...
타이 푸껫에서 23일 열리는 아세안지역포럼(ARF) 외교장관 회의에선 북한 핵 문제가 가장 중요한 현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근광 전 나미비아 대사를 단장으로 한 북한 대표단 5명도 21일 오후 푸껫에 도착했다. 박의춘 북한 외무상은 오지 않았다. 아세안지역포럼에선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2차 핵실험에 따...
외교통상부는 17일 일본 정부가 2009년 방위백서에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기술한 데 대해 즉각적으로 시정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문태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가 발표한 방위백서에 독도를 일본 고유의 영토로 기술한 것에 대해 외교 경로를 통해 강력히 항의했...
외교통상부는 16일 우리나라와 유럽연합(EU)간의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발표가 무리하게 이뤄진 것 아니냐는 지적과 관련해 "한·EU FTA 협상이 타결된 것에 대해 한국과 EU 간에는 이견이 없다"고 일축했다. 외교부는 이날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정부가 한.EU FTA 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
북한의 2차 핵실험과 관련해 대북 제재 방안을 논의해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핵 및 미사일 발사 등에 깊이 관련된 인물 7-8명에 대한 여행 금지, 해외자산 동결 등의 제재에 사실상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 4월24일 단천 상업은행 등 3곳의 북한 기업과 은행에 대한 해외 자산 동결조치 등에 이어 추...
안호영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은 15일 우리나라와 미국 간의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 재협상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안 조정관은 이날 외교부 청사에서 가진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FTA 재협상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미국 측에서) 구체적으로 문제 제기는 없었다"며 "재협상은 없다"고 ...
2007년 5월 시작한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2년 2개월 만에 타결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각) 스톡홀름에서 욘 프레드리크 레인펠트 스웨덴 총리와 정상회담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한-유럽연합 자유무역협정 협상과 관련해 “나와 레인펠트 총리는 협상의 모든 잔여 쟁점에 대한 최종 ...
한국-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의 타결에 따라 국내 농식품 부문은 적지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국내 돼지고기와 분유·치즈 시장 등이 개방돼 국내 축산·낙농업계가 피해를 볼 전망이다. 반면, 와인값 하락 등에 따라 소비자들은 혜택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유럽연합 양쪽은 협정...
공식 타결은 아니고, 사실상 타결? 정부가 2년 동안 끌어온 한-유럽연합 자유무역협정(FTA)의 “사실상 타결”을 선언했지만, 매조지가 깔끔하지 않다. 이명박 대통령과 유럽연합 의장국인 스웨덴의 욘 프레드리크 레인펠트 총리는 13일(현지시각) “모든 잔여 쟁점에 대한 최종합의안이 도출됐다는 것을 환영한다”는 성명...
2년 2개월을 끌어온 한·EU(유럽연합) FTA(자유무역협정) 협상이 13일 오후 마침내 타결됐다. 스웨덴을 방문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스톡홀름 시내 총리실에서 프레데리크 라인펠트 스웨덴 총리와의 정상회담 직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한.EU FTA 협상의 모든 잔여 쟁점에 대한 최종합의안이 마련된 점을 환...
한국과 중국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13일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만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 이행문제와 6자회담 재개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중국은 북핵 6자회담이 장기간 공전하고 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