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은 황해도 해주 태생이며 북반부에는 그의 친척들이 있다.”(<로동신문> 1984년 9월4일치) <로동신문>이 언급한 친척은 안 의사의 동생 안공근의 아들인 독립운동가 안우생의 후손들이다. 최근 <춘천문화방송>(MBC) 다큐멘터리 제작팀은 북한에 있는 안중근 의사의 발자취를 취재한 결과, ...
진실의 반대는 거짓이 아니라 신화라는 말이 있다. 오류가 반복되다 보면 사실로 굳어지고 100년이라는 시간이 지나다 보면 어느덧 잘못된 사실에 근거를 둔 신화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백범어록>을 펴내 백범 김구 선생에 대해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바로 잡으려 했던 도진순 창원대 교수(사학)는 ‘백범 신화’...
순국 100년을 맞았지만, 국내에는 아직까지 제대로 된 안중근 의사에 대한 전기가 없다. 산발적인 관계 자료들이 간행된 바는 있지만, 지금껏 ‘안중근 전집’과 같은 본격적인 종합 연구서조차 없었다. 조광 고려대 교수(사학)는 “관계 자료 가운데서도 현재 정리돼 있지 않은 부분이 상당수”라며 “최근 들어 공판 투쟁 ...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을 맞아 26일 오전 10시 남과 북의 대표단이 뤼순감옥 안에 있는 항일열사기념관에 모여 남북 공동 추모식을 연다. 같은 시각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는 정운찬 국무총리 등 정부 주요 인사와 안 의사 유족, 광복회원, 시민 등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안 의사 추념식이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