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인 제주 한라산과 성산일출봉, 거문오름동굴계(만장굴 등)가 관광객 증가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보존과 관리를 위해 입장료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다. 일부 제주도의원들은 올해 하반기에 주민발의를 통해서라도 조례를 개정해 입장료를 현실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제주지역 세계...
사업 심의·허가 과정에서 공무원과 사업자들의 유착이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는 제주시 애월읍 어음풍력발전지구 사업이 취소된다. 검찰 수사를 받는 과정에서 심의를 통과한 이유에 대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도는 19일 어음풍력발전지구 사업 허가와 관련해, 제주지방법원이 사업자의 현금...
제주도가 ‘유원지 특례’의 적용 범위에 대한 입장을 번복해 논란이 일고 있다. 권영수 제주도 행정부지사와 김남선 관광산업과장은 18일 오전 도청 기자실에서 “예래유원지 외에 다른 25개 유원지에도 제주특별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똑같이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한 제주특별법(제...
11일 제주 중산간마을인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마을과 조금 떨어진 곳에서는 외국식 이름을 붙인 소규모 공동주택 건설이 한창이었다. 제주시 조천읍·한림읍·한경면, 서귀포시 안덕면·대정읍 등 도내 곳곳에 ‘○○타운하우스’, ‘○○빌라’ 등 갖가지 이름이 붙은 전원주택 형태의 소규모 공동주택 건설이 열풍처럼 번지고 ...
제주시 지역에서 농지를 취득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은 농지 소유자 1018명이 농지를 처분해야 할 상황이 됐다. 제주도가 지난해 ‘농지 기능관리 강화 운영지침’을 마련한 데 따른 것이다. 제주시는 농지이용실태 특별조사 결과 농지를 농사 등 취득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은 소유자 1018명에 대해 농지법을 적용해 1년 ...
제주도가 제주지역 주택과 농지 등 부동산값 폭등을 막고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10년 동안 10만가구 공급 계획을 세운 가운데 자연녹지지역의 고도 완화는 허가하지 않기로 했다. 김영진 제주도 국제자유도시건설교통국장은 9일 ‘제주형 주거복지 계획(2016~2025년)’과 관련해 “중산간지역과 자연녹지지역의 고도 완...
대규모 매립을 전제로 한 제주신항만 개발 계획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제주도는 친환경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환경단체는 계획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공호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4일 오전 제주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주신항만 개발은 크루즈 관광객 유치와 제주지역 항만 물류난 해소 등을 위해 지...
제주시가 추진하다 공사 중지 명령을 받은 애월읍 곽지과물해변(곽지해수욕장) 해수풀장 조성 사업과 관련해, 김병립 제주시장이 27일 공식 사과했다. 김 시장은 해수풀장 공사 터를 원상복구하겠다고 약속했다. 결국 사업비 8억원을 날리게 됐다. 김 시장은 이날 오전 제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사업시행 주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