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정세가 변화의 길목으로 접어들고 있지만, 정부는 인도적 대북 지원을 위한 방북과 물자 반출조차 극히 일부만 선별 승인하는 등 압박성 대북 정책 기조를 고수하고 있다. 민간단체와 남북 경협 기업들은 22일 앞으로 닥쳐올 정세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유지해야 할 남북관계의 기본 토대가 붕괴될 위기에 ...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16일 “정부는 북한이 미국이나 일본과도 관계를 정상화하고 경협을 추진하기를 바란다”며 “그러나 남북관계를 우회하거나 비핵화 없이 그러한 일을 이룰 수 없다”고 말했다. 현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언론회관에서 한미클럽(대표 봉두완) 초청 기조강연을 통해 이렇게 밝히고, “그런 의미...
남북은 15일 판문점 연락관 접촉을 통해, 오는 26일~10월1일 금강산에서 열리는 추석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참가할 예비 상봉후보자 가족에 대한 생사 확인 결과를 교환했다. 북쪽은 남쪽 의뢰자 200명 가운데 143명의 북쪽 가족 709명의 생사를 확인해 알려왔고, 남쪽은 북쪽 의뢰자 200명 중 159명의 남쪽 가족 138...
곽선희 동북아교육문화협력재단 이사장 등 남쪽 인사 20명이 평양과학기술대학교 준공식 참석을 위해 15~17일 평양을 방문한다. 지난 5월25일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남북 사회문화 교류사업과 관련한 방북은 이번이 처음이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14일 브리핑에서 “평양과학기술대학교 준공식 및 총장 임명식에 ...
정부는 미국 국무부가 최근 북한과의 양자 대화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해 한반도 정세 변화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러면서도 북한의 대화 의도가 분명하게 드러날 때까지 기존의 대북 기조를 유지하며 기다리겠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 당국자는 13일 북-미 대화 구도에 대해 “현재 얘기...
통일부는 10일 북한의 사과가 ‘임진강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한 남북 협의의 전제 조건은 아니라고 밝혔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사과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대화를 제의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런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당국간 협의나 회담의 필요성에 대해 분명히 생각하고 있으나 구체...
정부가 민간 차원의 대북 쌀 지원을 위한 반출 승인 신청을 불허했다. 정부는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6·15 남측위) 농민본부가 6·15 북측위 농민분과위원회에 쌀 40t을 보내기 위해 낸 대북 물자반출 신청에 대해 ‘승인 유보’ 결정을 내리고, 이를 8일 단체 쪽에 구두로 통보했다고 통일부 관계자가 9일 밝혔다...
정부는 8일 임진강 야영객 사망·실종 사태와 관련해, 북한에 사과와 추가 해명을 요구했다. 이에 대한 북쪽의 대응에 따라선 앞으로 남북관계에 또 하나의 걸림돌이 생겨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이날 ‘통일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북한의 무단방류로 우리 국민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책임 있는 ...
북한이 임진강 야영객 실종 사태와 관련해 사고 발생 하루 만에 이례적으로 발빠르게 반응했다. 북쪽은 7일 오전 11시 사고 경위 설명과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남쪽 국토해양부 장관 명의의 대북 통지문을 전달받고, 6시간 만에 ‘북쪽 관계기관’ 명의로 답신을 보냈다. 북쪽의 신속한 답신은 일단 남쪽과 불필요한 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