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6일 중국 함선이 지난 1월 중순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 공해상에서 일본 함선 및 헬기에 사격용 레이더를 조준한 것에 대해 중국을 강력히 비난했다. 센카쿠열도 주변의 긴장이 높아가는 데는 중국의 책임이 크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모습이다. 중국 정부는 “항의를 받아들일 수 없다...
일본 정부가 독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쿠릴열도의 4개섬 문제를 전담할 ‘영토·주권 대책 기획조정실’을 정부 조직 안에 설치했다. 중앙정부에 독도 문제 담당 부서가 생기는 것은 처음이다. 그동안 시마네현이 앞장서오던 독도에 대한 영토 주장을 중앙정부가 직접 나서 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일본 ...
‘비핵 3원칙’과 함께 일본의 평화주의 실천계획 가운데 하나인 ‘무기수출 3원칙’을 일본 정부가 계속 무력화시키고 있다. 민주당 정부가 2011년 이 원칙을 대폭 수정한 데 이어 아베 신조 자민당 정부가 일본에서 만드는 F35 전투기의 부품 수출은 수정한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방침을 정했다고 <아사히신문>...
희토류 세계 최대 생산국인 중국의 지난해 희토류 수출액이 전년대비 66.1%나 줄어들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31일 중국 세관당국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수출량은 3.5%밖에 줄지 않았으나, 한때 중국 희토류 수출의 90%까지 차지했던 일본 기업들이 수입처를 다변화하고, 사용량을 줄이는 기술 개발에 적...
일본이 다음달부터 미국산 쇠고기 수입 허용 조건을 ‘20개월령 이하’에서 ‘30개월령 이하’로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28일 심의회를 열어 미국산과 캐나다산 쇠고기에 대한 수입 조건을 이렇게 완화했다. 일본 정부는 수입을 전면 금지하던 프랑스산과 네덜란드산 쇠고기에 대해서는 ‘30개월령 이하’...
대규모 적자를 내 구조조정이 필요한 일본 기업들이 특정 부서에 사람들을 모으고 있다. 회사는 이들에게 그동안 해오던 일과 상관없는 잡무를 맡기거나, 아무 일도 시키지 않는다. 대놓고 말하지는 않지만, 회사를 그만둬달라는 것이다. ‘쫓아내는 방’이라고 불리는 이런 부서를 대기업들이 잇따라 만들고 있다는 노조...
일본의 과감한 통화완화 정책으로 엔화 가치 약세가 가속화하고 있는 데 대해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자, 일본이 아베 신조 총리까지 나서서 해명하는 등 이른바 ‘아베노믹스’를 고수할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일본에선 엔화 약세가 달러당 95엔 수준까지 더 진척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7일 일본 언론 보도를 ...
한·일 양국을 대하는 중국의 태도가 선명하게 대비된다. 시진핑 중국 공산당 총서기는 최근 박근혜 당선인의 특사를 환대한 반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특사는 일정을 잡아주지 않다가 사흘 만에야 만났다.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일간 갈등은 특사 파견으로도 해빙의 기운을 마련하지 못했다. ...
일본 정부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 시마네현이 다음달 22일 개최하는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행사에 아베 신조 총리는 참석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마쓰야마 마사지 외무성 부대신은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정부는 아직 참석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
일본은행이 22일 이른바 ‘아베노믹스’에 따른 구체적인 통화완화 방안을 발표한 뒤 엔화 약세가 일단 멈췄다. 일본은행이 내년부터 매달 일정액의 국채를 무기한 사들이기로 했지만 시장에 실제 푸는 돈은 지금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실망감이 퍼진 까닭으로 해석된다. 24일 <아사히신문> 보도를 보면 일본은행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을 둘러싼 중국과 갈등이 격화되면서 ‘영유권 분쟁이 있음을 인정하자’는 일본 내 비둘기파들의 입지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센카쿠열도 국유화를 통해 ‘현상 타파’를 단행한 일본이 중국과 갈등을 군사력 강화의 계기로 삼으려는 움직임만 뚜렷하다. 자민당과 연립정부를 구성...
일본은행이 아베 신조 총리 정부의 요구에 따라 ‘2% 물가상승률 목표’를 이른 시일 안에 달성하기로 한 데 대해 일본 안에서도 적잖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당장은 엔화 약세에 힘입어 주가가 크게 올랐지만, 자칫 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23일 일본 언론 보도를 보면, 일본은행은 정부의 무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