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이 올해도 사실상 ‘불발’되면서, 우리금융 매각 방식에 대한 근본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자산 400조원이 넘는 거대 금융사를 한번에 넘기려다 보니 인수 주체를 찾지 못해 공전을 거듭할 수밖에 없다는 비판이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
케이비(KB)금융그룹이 우리금융그룹 인수전 참여를 포기했다. 유력한 후보였던 케이비금융이 손을 떼면서, 3년째 시도된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은 올해도 무산될 전망이다. 케이비금융은 25일 오후 서울 명동 본사에서 이사진 긴급간담회를 열어 27일로 예정된 우리금융 예비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론냈다. 케이비...
오는 27일 우리금융지주 예비입찰을 앞두고 케이비(KB)금융지주의 ‘최종선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고수하고 있지만, 안팎의 ‘불편한’ 분위기가 케이비금융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케이비금융지주는 우리금융 예비입찰일인 27일에 이사회를 열어 우리금융 인수·합...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조작 의혹을 조사중인 공정거래위원회가 증권사에 이어 시중은행을 상대로 현장조사에 착수했다. 현재 가계대출의 절반가량이 시디금리를 기준금리로 삼고 있어, 짬짜미(담합)가 확인될 경우 집단소송 등 거센 후폭풍이 예견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8일 오전 국민·우리·신한·하나 등 주요 ...
대출금리 기준으로 여겨지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의 조작 의혹이 불거짐에 따라, 이를 대체할 단기 지표금리 도입을 위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주재성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18일 “시디 발행 물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지표금리로서 구실을 제대로 못하고 있어, 이를 대체하거나 활성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
이명박 정부 ‘공기업 민영화’의 상징인 산업은행 민영화가 원점에서 재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기 이후 금융 공공성이 강화되는 추세에서, ‘세계적 투자은행(IB) 도약’이라는 기존 목표를 계속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 주된 배경이다. 야당이 원점 재검토를 사실상 당론으로 정하고 여당에서도 ‘후순위’로 밀리면...
한국형 무담보 소액대출(마이크로크레디트) 사업인 미소금융에 정부 입김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출자 개인별로 관리해야 하는 ‘맞춤형’ 사업을 정부가 흡수한 탓에, 애초 사업 취지가 퇴색됐다는 비판이다. 민세진 동국대 교수(경제학과)는 12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서민금융의 발전 방향’ 토...
현재 30대 후반에서 40대 중반인 ‘2차 베이비부머’의 절반 이상은 노후 준비를 시작도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1968년부터 1974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로, 국내 인구의 12.4%(596만명)에 이르는 한국 경제의 ‘중추’ 세대다. 1990년대 초반에는 ‘엑스(X)세대’로 불려졌던 이들이다. 11일 케이비(KB)금융지주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