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물가 급등에 대한 민심의 불만이 확산되고 있는 중국에서 정부가 가격상한제 도입을 포함한 강력한 물가안정 긴급대책을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은 17일 원자바오 총리 주재로 회의를 열어 식품 등 생필품 공급 확대, 저소득 가구에 대한 보조금 지급, 투기 엄단 조처와 함께 “필요할 경우 임시로 중요한 생활필수...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막내린 12일 각국 정상들은 대체적으로 이번 회의가 “성공적”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성공’의 기준도, 속내도 달라 불씨가 계속 남았음을 보여줬다. 특히 미국의 위안화 압박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마지막날 연설에서 미국을 ...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성패의 열쇠를 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오후 양자 정상회담을 열어 환율 문제 등을 집중 논의했다. 두 정상은 양국관계 개선과 협력을 강조했지만, G20 정상회의의 최대 의제이자 양국의 이견이 뚜렷한 위안화 절상과 무역불균형 해결 등에 대해서...
중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4.4%로 2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중국이 추가 금리인상 등 긴축조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1일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4.4% 상승했다며, 식품가격이 10.1% 오른 것이 주요 요인이라고 ...
중국 인민은행이 물가 상승과 부동산 과열 우려 속에 일부 대형 시중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인상하기로 했다. 중국의 추가 금리인상 등을 예고하는 조처로 해석되며 중국, 홍콩 등의 주식시장 등은 일제히 긴축우려로 하락했다. 인민은행이 중국은행 등 4대 국유은행과 교통은행 등 대형 은행에 15일부터 지급준비율을 ...
미국의 양적완화 조처 이후 신흥시장 국가들에 대한 ‘핫머니’ 유입 우려가 커지면서, 신흥시장 국가들이 잇따라 환율방어에 나서고 있다. 대만 금융감독당국은 핫머니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채권투자 규제안을 부활시켰다. 대만 금융감독위원회는 11일부터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자금의 30% 이상을 대만 국채나 만기 1...
장쩌민(84) 전 국가주석이 러시아 엔지니어 키레프의 회고록에 서문을 썼다는 기사를 <신화통신> 등 중국 관영언론들이 8일 일제히 보도한 까닭은 무엇일까? 지난달부터 중국 인터넷에서 퍼지고 있는 ‘장쩌민 사망설’을 진화하려는 정치적 캠페인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9일 보도했다. ...
“200년 만에 최대·최고 호화 진용의 영국 대표단이 중국을 방문했다.” 9일부터 이틀 동안 중국을 방문 중인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일행에 대해,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등 중국 관영언론들은 이런 표현을 써가며 의미를 부여했다. 경제위기를 겪고 있는 영국이 경제강국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8일 밤 광저우 아시안게임 축구 예선 중국과 일본 국가대표팀의 경기가 열리는 동안 양국 응원단은 서로 ‘격리’된 채 응원전을 펼쳤다. 축구 경기 도중 흥분한 양국 관중이 충돌해 ‘댜오위다오(센카쿠열도) 갈등’이 더욱 번질 것을 우려한 중-일 양국의 고육책이다. 이날 중국 광둥성 광저우의 톈허체육센터에서 열린...
프랑스와 중국이 국제 금융시스템을 개혁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 프랑스를 국빈방문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 5일 프랑스 남부 니스에서 정상회담을 하면서, 국제 금융시스템 개혁에 대해 “의견 일치를 이뤘다”고 프랑스 대통령실 고위 보좌관들의 발언을 인용해 <아...
중-일관계 악화의 도화선이 된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 열도) 선박 충돌 사건을 찍은 비디오가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에 유출돼 파문이 일고 있다. 지난달 9월7일 댜오위다오 해역에서 발생한 일본 해양순시선과 중국 어선 민진위 5179호의 충돌 당시 일본 해상보안청이 촬영한 비디오로 보이는 영상이 인터넷 동영...
중국 정부가 그동안 반년 넘게 미뤄져왔던 엘지(LG)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의 액정표시장치(LCD) 공장 신설 계획을 조만간 승인할 것으로 전해졌다. 4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3일 열린 국무원 회의에서 엘지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의 엘시디 신규 공장 건설을 허용하기로 결정하고 오는 15일께 공식 발...